[데스크 파일] ‘안전지대’의 조건들- 김종민 편집팀장

한반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언론 매체를 통해 자주 오르내리는 단어가 있다. ‘안전지대’. 결코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국내외적 상황이 하루가 다르게 전개되면서 불안감이 커져가고 있다.
우리는 테러에 지극히 무덤덤하다.
오는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부산, 예측할 수 없는 순간, 도심 한 복판에서 강력한 폭탄이 터진다면…. 정말로 생각하기 조차 힘든 대혼란이 눈앞에 펼쳐질 수 있다.
최근 가슴 언저리까지 쓸어내리게 만든 영국 런던의 연쇄 폭탄테러를 계기로 경계심이 확산되고 있다. 뉴욕 9·11 테러의 악몽이 아직 생생한데, TV속에 비쳐지는 아수라장은 실로 끔찍했다.
알카에다라는 세계적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테러조직에 대한 공포는 그저 남의 나라 일이겠지 했다. 이번 참상을 접하면서 우리도 안전하지 않다는 지적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APEC을 겨냥한 테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라크 파병 규모 3위의 한국, 더 이상 안전지대일 수 없다는 것이다.
앞으로 2, 3년 내에 최소한 규모 5.5 이상의 지진이 한반도 내륙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동남아 일대의 휴양지를 일순간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린‘쓰나미’. 대재앙을 부르는 지진에서 역시 안전지대가 아니다. 지진이 일어나면 60% 이상으로 지진 해일을 동반한다. 한반도도 지진, 지진해일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그동안 한반도의 지진은 리히터 2~4사이의 규모가 대부분. 아울러 우리가 잘 느끼지 못하는 0~1 정도의 지진은 느끼지도 못하는 사이에 수없이 일어나고 있다.
한반도 지진활동은 고려말기에서부터 급격히 상승, 16세기에서 절정에 달했다가, 그 후 급속도로 감퇴했다. 그런데 이후 20세기에 들어와서 점차 활성화 돼 가고 있는 실정이다.
한반도에 핵 전쟁의 위기가 극한으로 치달았다.
인류가 개발해내지 말았어야 할 첫번째로 꼽히는 핵. 북한의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이 이달말 극적으로 재개될 예정이다. 1년을 꼬박 더 넘긴 뒤다.
전쟁 위기까지 몰고왔던 북핵 갈등에 물꼬가 트였다는 점에서 우리는 고무돼 있다. 한반도 비핵화 선언과 함께 한민족이 어깨동무 하는 평화세상이 다가선 듯 하다. 정부가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나선 것은 정말로 환영할만 하다. 핵으로부터 계속 안전지대로 남아야 하는 이유다.
또 다르게 안전지대일 수 없는 얘기는 이렇다.
이번 여름 장맛비도 심상치 않았다. 유독 천둥·번개와 함께 돌풍까지 셌다.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짧은 시간에 마치 퍼붓듯이 장대비를 쏟아냈다. 다행히 큰 피해가 없어 숨을 돌리기는 했다.
앞으로 다가올 태풍, 150여년만에 가장 강력한 위력의 허리케인이 휩쓸고 있는 아메리카 대륙의 현실이 남의 일이 아닐 듯 싶다. 기상 대이변을 알리는 전조일까. 아니 벌써 시작됐는지도 모른다.
인터넷 이용의 급격한 확산으로 음란, 폭력 등 각종 유해 정보앞에 우리의 자녀들도 위험하다.
무선인터넷, P2P(개인간 파일공유) 등과 같은 통신기술의 발달로 불건전 정보가 급속도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병들게 하고 있다. “설마”, 믿고 있다가 손톱 밑 가시처럼 곪아 터질수 있다.
한반도가 언제까지 ‘행운’을, ‘요행’을 바랄 수 없는 노릇이다. 지구상에서 자유로운 ‘안전지대’는 아무 곳에도 없다. 걷잡을 수 없는 재앙이 일어나지 않으리란 보장을 장담 못한다.
“별 근거없다”는 식의 안일함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는다. 우리의 하늘과 발 아래가 지금 안심할 수 없다.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더라도 대비가 철저해야 하고 사회 구성원들의 안전 의식의 무장만이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일상에서 하나둘씩 준비해야 ‘인재(人災)’를 막을 수 있다.
/kjm@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