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은 전력생산은 물론 산업현장이나 병원 등 일상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은 안전하게 관리하는 일은 당연히 원자력 이용의 당사자인 우리의 몫이며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방사성 폐기물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일반 폐기물을 매립하는 과정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체계적이고 엄격하다.
먼저 방사성 폐기물은 일반 폐기물처럼 발생된 형태 그대로 버리지 않는다. 특성별, 형태별로 구분한 후 시멘트와 섞어 벽돌처럼 단단하게 만든다. 그런 다음 철제 드럼이나 콘크리트 용기에 넣어 밀봉한 후 각종 안정성 검사를 하여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관리시설로 보낸다.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이 더럽고 냄새나는 허술한 시설이 아니라는 것은 이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선진 외국에 가 보면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안전에 관한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영국은 1959년부터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을 운영해 오고 있는데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인근에 있는 원자력 홍보관이 관광명소가 되는 등 오히려 지역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은 영국 뿐만 아니라 미국, 프랑스, 스웨덴, 일본 등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나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점이다. 안전에 관한한 더 이상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16기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원자력 선진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건설을 위한 부지조차 구하지 못한채 10년 이상을 끌어오고 있다. 주민과의 협의없는 사업자의 일방적 추진 등 사업추진상의 미숙함이 그 한 요인이요,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그릇된 인식이 다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번에 이 사업을 새로 맡은 산자부와 한전은 과거의 잘못된 경험을 교훈삼아 지역 주민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할 수 있는 유치공모 방식으로 부지를 구하려고 한다. 이는 민주적으로 투명하게 추진하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제 남은 일은 방사성 폐기물과 관리시설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정보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지역주민들의 지혜를 구하는 일이다. 국가와 지역 모두에게 도움이되는 현명한 결정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때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