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기관의 해킹사고로 개인정보 유출의 불안한 심리상태를 악용하는 보이스피싱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보이스피싱은 해가 지날수록 늘어가는 추세이며 그 기법 또한 진화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발신번호를 경찰청의 번호와 일치시키고 경찰·검찰 직원을 가장하여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심리적으로 압박하여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유형, 국세청이나 국민연금관리공단·한전 직원 등을 사칭해 더 낸 돈을 환급해 준다는 빌미로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피해자를 현금지급기로 유도해 돈을 입금시키는 유형이 있다.

특수 단말기로 조작된 자녀의 전화번호로 “자녀를 납치했다”며 부모에게 전화를 걸어 거액의 돈을 요구하는 유형, 미리 수집한 개인정보를 토대로 “교통사고가 났다”며 급히 현금이나 합의금을 요구하는 유형, 카드사·은행 등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해 카드대금이 연체됐다거나 카드가 도용됐다며 개인정보를 알아내어 현금을 빼내는 유형도 있다.

또 이벤트 행사에 당첨되었다고 하여 개인정보를 빼내가는 등 그 유형이 날로 진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현금자동지급기로 유도하지 않고 인터넷뱅킹이나 폰뱅킹에 가입하도록 유도한 후 예금을 빼내가는 유형도 있다.

이러한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택배상자를 버릴 때 반드시 운송장은 떼어내고 버려야 하며 전화를 이용한 계좌번호·카드번호·주민번호·비밀번호 등의 요구에 일체 대응하지 말아야 한다.

현금지급기로 유도하는 전화는 무조건 전화사기라는 것을 명심해야 하며 미니홈피, 블로그 등에 공개된 개인정보도 범죄에 악용될 수 있으므로 인터넷에 개인 및 가족정보를 올리는 일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이미 사기단에 송금한 뒤라면 거래은행 콜센터에 신속히 지급정지를 요청해 현금 인출을 막아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보이스피싱은 특히 노인·주부 등을 대상으로 주로 행해지고 있어 이웃 어르신들과 부모님들에게 보이스피싱에 대한 유형별 사례와 대처법을 철저히 알려 더 이상 억울한 피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