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조작농산물(GMO)의 안전성 검정기술이나 형질전환 등 국내 농업생명공학기술개발 수준이 선진국의 30%수준에 그쳐 국가차원의 생명공학 연구개발 계획 및 종합조정체제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농업과학기술원 이길복 박사(생물자원부)는 24일 오전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열리는 ‘21세기 생물농업 전망과 육성방안’ 심포지엄에 앞서 배포한 ‘생물농업의 전망과 금후 방향’이란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 박사는 주제발표에서 우리나라의 생물 농업 등 생명공학기술개발 수준의 경우 GMO 안전성 검정기술과 판별 기술이 선진국의 30%와 70% 수준에 각각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유전자 조작과 형질전환 및 유전자 발현조작 기술, 특수 기능용 식물이나 가축 형질전환 작목육성도 선진국의 30%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특히 벼를 제외한 기타 생물체의 게놈프로젝트나 형질전환 곤충 및 미생물 이용기술 등은 선진국의 10분의 1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국내 생명공학기술개발이 저조한 것은 국제적 게놈연구의 참여부족으로 유용유전자 개발 등 생명공학연구의 기본소재가 결핍된데다 형질전환용 백터·형질전환 기술 등 기반기술개발 부족에 따른 기술 사용시 특허료 지불 문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결과위주의 연구로 선진국들의 연구를 모방하는 등 독창적인 연구 아이디어 부족과 연구방향 정립과 연구주제별 역할분담 등 기획관리 부실 등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따라 이 교수는 생명공학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범국가적 차원에서 우선연구 분야를 설정하고 연구분야별 유기적 연계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종합적인 연구계획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높은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예산 및 고급 연구인력의 장기적이고 집중적인 투자와 우리 실정에 맞는 자체 게놈프로젝트 추진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이 교수는 정보통신이나 컴퓨터 과학 등 주변 과학 지원 기반을 구축할 것과 선진기술을 보유한 외국 연구기관과의 지속적인 기술교류에 나설 것을 제시했다.
반면 그는 ▲범국가 차원의 생명공학 필요성 형성 ▲생명공학 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 ▲국내 고급인력 확보 ▲작물 육종 및 재배기술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집약적 농업기술 확보 등을 긍정적인 점으로 꼽았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유전공학 이용기술의 현재와 미래’, ‘생물농약개발의 현황과 전망’,‘기능성물질 탐색과 이용 기술개발’이란 제목의 주제도 발표될 예정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