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1년째 대피생활…나오는 건 '한숨뿐'"사업성 미미로 재건축 추진 난항…입주민들 대립도

▲ 2014년 7월 재난위험시설 판정으로 주민 대피 명령이 내려진 광주 북구 중흥동 평화맨션 B동 건물. 진출입로와 건물 입구에 출입을 통제하는 시설물이 설치되고, '출입 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광주 북구 평화맨션 주민들 이주대책 없어 '답답'

"벌써 1년째 대피생활…나오는 건 '한숨뿐'"

사업성 미미로 재건축 추진 난항…입주민들 대립도

지난해 7월 기둥 균열로 재난위험시설 판정을 받은 광주 북구 중흥동 평화맨션 입주민들은 벌써 1년째 대피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무엇보다 사고 이후 제대로 된 이주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데다, 재건축 추진 역시 난항을 겪고 있다.

◇입주민들 임시거처생활 여전=22일 광주광역시와 북구, 평화맨션 입주민에 따르면 지난해 사고 직후부터 북구 중흥동 평화맨션의 172가구 가운데 주민 대피 명령이 선포된 B동 60가구는 모두 외부에 거주 중이다.

A동은 총 112가구 중 40여가구만 별도의 거처를 마련해 대피했다.
입주민들은 도시공사가 제공하는 북구, 광산구 일대의 소형 연립주택에서 보증금 100만∼600만원, 월세 20만∼30만원을 내고 거주 중이다.

노인 가구 등 저소득층 가구는 대피생활이 장기화되면서 수십만원의 월세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토로하고 있다.

입주민 A(45·여)씨는 "가족들이 사고 후 한 소형 연립주택에 임대료를 내고 임시 거주 중"이라며 "기초연금 등에 의존해 홀로 사시는 일부 할머니들은 새로 들게 된 생활비에 옛날 집 관리비까지 감당하지 못해 더 막막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게다가 A동의 65가구는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여전히 아파트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입주민들은 아직 강제 대피 명령이 내려지지 않은 건물에 남아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거주 대책 '제자리 걸음'…재건축도 난항=이처럼 사고 이후 입주민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지만 뚜렷한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북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도시공사와 연계해 소형 연립주택이나 임대아파트 입주를 지원하면서 재난관리기금 부족을 이유로 가구당 최대 350만원의 보증금만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광주시는 최대 3천만원 한도까지 보증금을 무이자로 빌려 주는 것을 검토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대피 명령이 내려졌던 B동에 한해서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재건축 추진도 난항을 겪고 있다. 일부 입주민들은 자재비, 인건비 상승 등을 고려해 자부담 비율을 올리더라도 재건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또다른 주민들은 이주 비용조차 없는 가구를 고려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부담을 최대한 낮춰야 한다며 대립각을 세웠다.

또 현재 용적률 기준으로는 사업성이 떨어져 마땅한 건설사를 찾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지자체가 시공사 선정 등에 참여해 사업진행을 돕는 '공공관리제도' 추진 등 행정 기관의 역할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북구 관계자는 "해당 부지가 제한적인 관계로 사업성을 확보하는데 조금 어려움이 있다"며 "최근 광주시에 재건축이 시급한 아파트의 용적률 완화 등 관련 조례 개정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