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FTA 대응력 믿을 만한가?

전남도가 최근 조직 개편을 하면서 농수산식품 'FTA(자유무역협정)대응 팀'을 폐지했다. 도는 지금까지 'FTA대응계'를 운영해 왔지만 이번 조직 개편 과정에서 농수산식품 수출업무는 수출지원계로, FTA관련 업무는 경제과학국 지역경제과로 모두 넘겼다. 이에 따라 전남의 농수산식품 수출과 한중FTA 업무를 전담하는 단일부서는 사실상 없어졌다.

도의 이번 'FTA 대응팀' 폐지는 업무추진과 조직운용의 효율을 위해 취해진 조치라 여겨진다. 그러나 도는 10여 년 전 FTA 대응을 위한 자구책으로 관계공무원과 전문가들이 참여한 태스크포스 팀(T/F)을 구성했다. 이 T/F는 식량작물, 원예특작, 축산 등 5개 분야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도내에서 생산되는 40여개 주요품목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것이었다.
 

10년이 지난 지금, 도의 FTA 대응은 과연 어떻게 됐는지를 묻고 싶다. 도는 각국과 FTA가 체결될 때마다 차질 없는 대응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 듯싶다. FTA 대응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선결적인 과제는 전문 인력 양성이다. 외국어 실력과 무역상거래에 능한 공무원 양성과 인적네트워크 구성이 가장 시급한 과제다.

그러나 현재 도 본청이나 농업기술원 등 산하 기관 공무원 가운데 중국어와 일본어, 그리고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이는 극히 일부다. 특히 도에 요구되고 있는 것은 중국어에 능통하고 중국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력양성과 확보다. 도가 이런 인력양성을 소홀히 하고 있으면서도 ‘차질 없는 대응’을 내세우고 있는 것은 도민들에 대한 기만이다.

전남도가 중국어 전문 인력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한 것은 지난 1992년이다. 당시 H도지사는 도내 기업인들과 함께 절강성과 상해시 등 5개 성(省)을 순방하며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첫 순방지인 상해에서부터 통역문제가 불거졌다. 도는 통역요원으로 중국어를 전공한 공무원을 동행시켰는데 문제는 이 공무원이 구사하는 중국어를 상해시공무원들이 전혀 알아듣지 못했던 것이다.
 

이 해프닝은 도가 상해에서 근무하고 있는 무역회사 직원들에게 부랴부랴 도움을 요청해 일단 종결됐다. 이후 도는 중국에서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는 조선족을 도청으로 데려와 상호교류와 통역 업무 등을 1년 정도 맡겼다. 그러나 대 중국 업무와 관련된 통역·무역정보 취득 인력 양성은 소홀히 했다.
 

전남도는 한중 FTA 체결에 따라 각종 무역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경우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이다. 그런 만큼 전남지역 농수산물의 대중국 수출 정보와 중국인들의 기호파악, 유통망 확보가 실시간으로 파악되고 저장돼야한다.

이와 관련, 전남도는 3일“지속적으로 전문 인력을 보강,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혀 FTA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