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만명 방문·다양한 문화콘텐츠 선보여

개관 한돌 맞은 ‘문화발전소’ 아시아문화전당

260만명 방문·다양한 문화콘텐츠 선보여

소통 부재·지역작가 교류 부족 등 은 과제

‘아시아 문화의 창(窓)’을 표방하며 문을 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이 25일로 개관 1주년을 맞았다.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적인 현장인 옛 전남도청 부지에 들어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아시아 문화를 전세계에 알리는 창·제작센터를 표방하고 전시, 공연,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개관 이후 260만명이 다녀가고 다채로운 창·제작 문화 콘텐츠를 선보였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라는 평도 있지만 민주평화교류원 문제 등 해결과제도 아직 많다는 지적이다.

개관 1년간 260만명의 관람객이 방문한 가운데 지난 1년간 전시 33종, 공연 82종, 교육 97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며 국제교류와 창제작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 또 아시아 전통오케스트라 공연, 아시아 무용단 창단, 아시아 창작공간 네트워크, 아시아 스토리텔링 사업 등 아시아 국가 간 교류와 문화협력 활동을 활발히 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의 핵심시설인 문화전당의 1년을 돌아보고 성과와 과제를 짚어본다.

▶1년간 260만명 방문=지난 1년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방문한 관람객이 260여만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개관 이후 열린 기획초청전과 특별체험전, 축제, 야외공연, 기획·상설공연, 창·제작공연, 어린이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모두 55만여명이 찾았다. 문화전당이 자체 개발한 청소년직업체험프로그램인 ‘커리어러너’도 인기를 끌고 있다.9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태블릿 PC를 이용해 라이브러리파크의 전시물과 도서 등을 찾아다니면서 게임 형식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청소년들의 반응도 좋은 편이다.

▶5월 단체와 갈등은 숙제=전당을 구성하는 5개 원 중 하나인 민주평화교류원은 1년이 다 된 지금도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5·18 기념재단 등 5월 단체 관계자들은 옛 도청 본관과 부속 건물을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역사 현장 원형이 훼손됐다며 지난 9월부터 전당 앞에서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옛 도청 내·외벽에 있던 계엄군 총탄 자국이 페인트에 덮여 지워졌고, 시민군 상황실과 방송실이 철거돼 그 자리에 전시공간과 승강기실이 들어섰다며 원형복원을 촉구하고 있다.

반면 문화전당은 옛 도청 본관과 회의실을 개축해 지상 1~3층에 전시공간을 만들고 민주평화교류원을 열어 5·18 당시 열흘간의 이야기를 기승전결이라는 서사구조로 연결한 ‘열흘간의 나비떼’를 선보일 계획이다.

전당 운영을 책임질 전당장 선임도 두번이나 무산되고 현재 세번째 공모가 진행 중이다. 개관 이후 수장 자리가 1년째 공석인 셈이다.

방선규 문화전당장 직무대리는 “민주평화교류원을 이른 시일 내에 열 수 있도록 대화를 통해 논의하겠다”며 “5월 단체가 안을 제시하면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병훈 전 문화중심도시추진단장은 “당초 문화전당은 파리 퐁피드센터나 호주의 오페라하우스처럼 그 도시의 랜드마크를 계획했고, 세계적인복합문화공간을 만들려고 했다”며 “현재의 전당은 그 수준에는 아직 못 미치고 있다. 좋은 콘텐츠를 끊임없이 생산하는 구조가 부족하고, 리더십을 갖춘 전당장이 선임돼 소통의 부재와 시스템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지역 작가들과의 교류가 턱 없이 부족했다”며 “광주를 품고 아시아 문화를 전세계에 알리는 문화전당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정희윤 기자 star@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