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연합·상생 전략’으로 위기 돌파

정부정책·학령인구 감소 영향 ‘

학점ㆍ수업ㆍ시설 등 공유 바람

“대학 고유 정체성 상실” 우려도

 

재정지원을 전제로 한 정부 방침과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광주·전남 지역대학들이 인적·물적 자원 교류를 위한 ‘연합대학’ 구축에 앞다퉈 참여하고 있다. 전남대와 목포대, 순천대, 목포해양대, 광주교육대 등 지역 국립 5개대학의 자원공유 협약식 장면./전남대학교 제공
재정지원을 전제로 한 정부 방침과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광주·전남 지역대학들이 인적·물적 자원 교류를 위한 ‘연합대학’ 구축에 앞다퉈 참여하고 있다. 조선대와 춘천교육대의 교류협약 장면./조선대학교 제공

올해 대학가 최대 화두는 공유 개념의 연합대학 구축이다. 그 배경은 재정 지원을 전제로 한 교육부의 평가와 사업 때문이다. 광주전남 대학가에도 연합대 구축 바람이 거세다. 정부가 재정 지원의 전제조건으로 대학 간 협업을 강조하고 나선 데다 학령인구 감소 속에 독자적으로는 신입생 유치가 점점 어려워질 수밖에 없어 너도나도 ‘연합체제’에 참여하고 있다. 대학들은 정부의 재정 지원이 절실한 대학들은 앞다퉈 연합체제를 결성하지만, 실효성과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지역대학들 경계를 허물다=전남대와 광주교육대, 목포대, 목포해양대, 순천대 등 지역 5개 국립대학은 지난 16일 오전 전남대에서 ‘광주ㆍ전남 국립대학 간 혁신 및 자원공유 협약’을 체결했다.

5개 대학은 협약을 통해 국립대학 혁신 발전모델 구축, 대학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호·보완모델 연구, 교직원과 학생 교류 확대, 학술 및 행정정보 교류 확대, 교육역량 성과 공유 및 확산 등에 합의했다. 또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 및 연구를 공동 수행하고 국립대학 발전에 필요한 제반 사항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조선대와 호남대, 동신대 등도 다른 시ㆍ도 국립대 및 사립대와 전략적 연합에 나서고 있다. 조선대는 지난달 28일 광주여자대학교와 학부모교육 모델 공유ㆍ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시작으로 춘천교육대학교(3월6일), 광주대학교, 전주대학교, 호남대학교(이상 3월9일)와 교류 협정을 체결했다.

호남대는 1996년부터 경남대, 계명대, 울산대, 전주대, 한남대, 아주대, 관동대 등 한국지역대학연합회 소속 대학을 비롯 국내 주요 대학들과 학점교류를 하고 있는 호남대는 올해 들어 조선대, 광주대, 목포대, 순천대,동신대, 전남대, 전주대 등과 전문인력양성 및 교육과정 연계 협약을 체결했다.

동신대는 최근 광주대ㆍ광주여대와 학부모교육 모델 공유ㆍ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목포가톨릭대학ㆍ광주여대ㆍ초당대와 링크플러스사업 산학협력체제 공유 확산을 위한 공동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한양대와는 학점교류ㆍ이러닝 교과목에 대한 산학협력교육협약을 체결했다.

◇정부재정지원사업 ‘대학간 자원 공유’ 평가=지역 대학들이 ‘공유’ 개념의 연합체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는 이유는 정부 재정지원사업 평가에 ‘대학 간 자원 공유’ 항목이 새롭게 포함됐기 때문이다.

올해 최대 재정 지원 사업으로 130여개 대학에 3천271억원을 투입하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링크 플러스) 육성 사업이나 이달 말 지원 신청이 마감되는 2017년 국립대학 혁신지원사업(PoINT·포인트) 사업도 ‘연합대학’ 문제가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여기에 내년 상반기에 ‘대학구조개혁 2주기 평가’를 실시해 구조조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대학에 대해 정원 감축 등을 예고한 것도 이유다.

교육부는 앞으로 4년간 매년 1천억원을 투입해 지역 거점 국립대와 주변 소규모 대학들의 기능을 연계하는 국립대 발전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역 대학 관계자들은 “교육부가 상반기 중 각종 사업들의 대학 간 협력 유형에 대한 신청을 받기 때문에 대학 간 연합대학 또는 교류협력은 붐처럼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위기 근본적 진단 지적도=그러나 일각에서는 “무리한 연합체제 구축은 대학 고유의 정체성을 상실한 채 취업중심 교육기관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입학자원 감소 등으로 대학 교육이 위기에 놓인 것은 맞지만 교육부가 추진하는 연합대학 정책은 바람직한 대안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근본적 원인 진단이 없는 대증 요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대학공공성 강화를 위한 전국대학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는 최근 “연합대학은 대학 교육 개혁의 대안이 될 수 없다”며 정부와 각 대선 후보 진영에 고등교육 재정교부금법 제정을 비롯한 9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김병국 전국대학노동조합 정책실장은 “초중고교의 경우 국가가 책임을 지고 재정을 지원하지만 대학은 대부분 등록금과 재단 기부금에 의존하는 실정”이라며 “각 학교 고유의 자율성이 훼손되지 않을지 걱정”이라고 전했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