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가람혁신도시, 대한민국 4차산업혁명 주도한다

에너지·문화예술·농생명·정보통신기술 등 융합기반 구축

500개 기업 유치·25조원 투자…글로벌 에너지 클러스터 기대

인구 3만 유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지역인재 채용 확대 ‘숙제’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인 ‘빛가람 혁신도시’가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2.5배로,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광주와 전남 두 광역자치단체가 공동 조성했다. 공공기관 이전은 2013년 3월부터 시작해 올해 하반기 모든 기관이전이 마무리된다./나주시 제공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인 ‘빛가람 혁신도시’는 서울 여의도 면적의 2.5배로,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광주와 전남 두 광역자치단체가 공동 조성했다. 공공기관 이전은 2013년 3월부터 시작해 올해 하반기 모든 기관이전이 완료된다./나주시 제공

‘빛가람 혁신도시’가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요람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전력공사를 주축으로 한 에너지 발전산업과 한국농어촌공사와 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견인하고 있는 농생명 분야는 미래 100년 먹거리 확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사업이다.

빛가람 혁신도시에 입주한 공공기관들의 정보통신기술과 융합한 새로운 산업 페러다임인 ‘기술융합 4차 산업혁명’의 발전방안, 미래성장동력을 짚어보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4차 산업혁명 성지로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가 됐다. 미국 등 4 산업혁명의 퍼스트 무버(First Mover)를 자처하는 국가들은 이미 인공지능의 개발과 접목으로 사회 곳곳에서 일자리 혁명까지 일어나고 있다. 이런 시대 흐름에 반해 광주·전남의 산업 구조는 1차적이다.

농수산업과 중화학산업이 지역내총생산(GR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산업구조와 경제 순환으로 인해 지역발전 전문가들은 쓰나미처럼 밀고 들어오는 4차 산업혁명 속에 광주·전남지역이 서둘러 미래산업의 적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빛가람 혁신도시는 광주·전남 미래 경쟁력으로 그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의 부가가치가 높아 현재 혁신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에너지 및 농생명 분야 개발은 향후 국가적인 경제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빛가람혁신도시에서 무슨일이

빛가람 혁신도시 내 에너지신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전남이 가장 큰 관심을 쏟고 있는 미래 성장동력이다. 빛가람혁신도시에 2025년까지 10년간 16조원을 투자하고, 500개 기업을 유치해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게 된다. 한국전력 등 에너지 공기업들이 들어왔고, 200개 에너지기업을 유치함으로써 대한민국 에너지 신산업을 주도할 기반을 갖춰가고 있다.

특히 나주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밸리 육성은 지역을 넘어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등 토대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지자체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전남도는 나주지역에 차세대 2차 전지 산업화를 지원하고 빛가람혁신도시를 ‘에너지신기술 창업선도 도시’로 지정해 에너지기술 연구소기업 100곳이 설립·유치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한전 국제전력대학원대학교를 설립해 에너지캠퍼스를 조성하고 기술인재를 양성해 국가 미래 신성장동력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농업도 이제는 Smart-Farm으로

한전과 함께 빛가람 혁신도시에 입주한 한국농어촌공사는 국내 농어업의 컨트롤 타워이다. 공사는 최근 급변하는 농어업 경영환경을 ‘4차 산업혁명 주도’로 대응하고 있다. 전국 3천394개 저수지와 156개 방조제 등 농업기반시설과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농어촌공사는 전례 없는 기상이변과 재해가 일상화된 상황을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터넷(IoT),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스마트팜 온실 신축에 올해 700억원의 예산을 집행할 예정이다. 스마트팜은 온·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생육조건을 컴퓨터,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 관리하는 시설이다.

기존 시설원예보다 노동력과 에너지를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시장 개방에 대응해 수출 잠재력이 큰 원예전문단지를 육성하기 위해 현대화·규모화·전문화된 생산 기반을 구축한다.

◇지역경제와 융합을…

4차 산업혁명은 기회와 혜택 못지 않게 과제도 만만찮다. 당장 일자리 감소와 소득 격차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빛가람혁신도시가 제 아무리 ‘인구 5만 자족형 4차 산업혁명 도시’로 발전되더라도, 지역 경제와의 화학적 결합이 없다면 우려하는 현실의 괴리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빛가람혁신도시의 당장 시급한 과제는 지역인재 고용률을 끌어 올리는 것이다.

지난 3년간 지방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계획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광주·전남지역 혁신도시 공공기관은 지역인재 264명을 뽑아 채용률 11.4%에 그쳤다. 2014년 198명(11.2%), 2015년 296명(14.2%)에 그쳐 지역인재 채용 확대 요구 목소리가 그 어느때보다 높다. 특히 공공기관의 일자리 창출 계획은 주로 재정지원 사업을 기초로 수립되고 있어 민간부문의 고용률은 이보다 떨어진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더구나 기술의 발전으로 인력 대처 수요 개발이 빨라질수록 민간부문의 고용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빛가람 혁신도시에서 미래전략산업으로 논의되고 있는 에너지, 정보통신, 문화예술, 농생명 등을 운영하는 맞춤형 일자리 창출과 인력 양성 기구 설립도 시급하다. 이와 함께 빛가람 혁신도시 건설 5년동안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지역 상생 협력과 사업공헌사업도 지자체와 공동과제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상석 공익재정연구소장은 “빛가람 혁신도시가 더 큰 경쟁력을 얻기 위해서는 지방의 자율과 창의성이 융합돼야 한다”며 “지역 정관계가 함께 모여 맞춤형 일자리 창출과 현실적인 재정투자사업 수립 등을 통해 광주·전남지역 지속 성장의 원동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민 기자 kym@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