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교육청‘고교 학점제’ 시행 촉각



학교 옮겨다니며 수업…文대통령 교육공약 1호

시설·교원·교과교실제 등 점검…T/F팀 구성



일반고 공동교육과정 확대 …교육부 방침 주목

절대평가제 도입·다양한 교원 확보 등 과제도



광주의 A고등학교 1학년 사회 시간. 김모 군은 5개의 사회과목 가운데 ‘법과 정치’가 개설된 B고교에 가서 수업을 듣는다. 마찬가지로 A고에 개설된 ‘스페인어’ 수업은 B고 학생이 선택해 들을 수 있다. 빠르면 내년 신학기부터 광주의 고교에서 이런 풍경을 자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고교 학점제’ 도입에 대비, 이동 수업을 비롯한 학교별 교실 및 교사 수급 현황, 교육과정 등 인프라 점검에 나섰다.



◇서울·부산 등 전국 교육청 준비 본격화=고교 학점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교육공약 1호이다. 미국, 핀란드와 같이 고등학교도 대학처럼 학년에 상관없이 과목을 선택해 수강하고 졸업학점을 이수하면 졸업장을 수여하는 것을 말한다. 고교 학점제가 도입되면 교과과정 다양화로 지금과 같은 사교육은 줄어들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교육계에서는 빠르면 내년도 신학기부터 고교 학점제가 시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대비에 나섰다.

서울시교육청은 23일 ‘고교 학점제’의 현장 안착과 실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태스크포스(TF)팀을 발족한다. 부산시교육청은 올해 2학기부터 고교 학점제 전 단계 성격을 지닌 플러스 교육과정을 시행한다.

광주시교육청은 현재 고교에서 진행중인 교과교실제를 활용해, 준비에 나설 계획이다. 진로진학교육혁신방안에 포함된 학교간 공동교육과정 및 외국어교육 외부기관 위탁 운영 상황도 점검해 대비할 생각이다. 이와 함께 현재 진행중인 교육 시설(교실 수), 교육과정, 교원 수급 상황 등 각 소관부서별 점검사항을 토대로 T/F팀을 구성해 고교 학점제 운영을 준비할 방침이다.

광주시교육청 김준영 장학관은 사견을 전제로 “고교 학점제는 학기중에 시행되기 어려운데다 준비 과정도 필요하기에 내년 신학기부터나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동안 추진해온 교과교실제 및 학교간 공동교육과정 등의 운영 실태와 교실 수, 교원 수급 상황 등을 점검하는 등 대비책 마련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남교육청은 교육부 방침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남은 올해부터 시행하는 일반고 운영 체계 개편안 가운데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내실을 기하면서 교육부 움직임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공동교육과정 운영은 학생 교과목 선택권 확대가 핵심으로 학교가 학생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인근 학교들과 공동으로 필요 교과목을 개설해 운영하도록 한다.



◇시범학교 운영 등 시행착오 줄여야=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우선 작은학교나 농산어촌 학교의 경우 학생들이 배우고 싶은 과목이 있어도 주변에 학교가 많지 않아 도시 학교 학생들처럼 다른 학교에 가서 수업을 듣고 학점을 따기 어렵고 지역 특성상 교사 수급도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교원도 선결 과제 중 하나다. 고교학점제가 원활하게 운영되려면 대학처럼 고1~3학년 학생들이 함께 이수하는 다양한 종류와 수준의 과목들을 개설해야 하는데 다양한 강좌를 운영할 수 있는 교원 확보가 필수적이다.

고교 내신 절대평가로 전환 등 선결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필요한 학점을 취득하지 못한 학생들에 대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학점제 적용 대상 과목 이수에 실패한 학생들은 3년 안에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할 수 없게 돼 제대로 졸업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교육계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아 짧은 시간 내 도입하기 쉽지 않기에 시범학교 운영 등으로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전남지역 한 고등학교 교장은 “작은학교나 농산어촌 학교는 학생들의 선택권을 폭넓게 보장하기 어려워 (도시 학교에 비해)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며 “고교학점제를 바로 도입하긴 어렵고 운영하는 학교들을 점차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말했다.

김은정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선임 연구원은 “고교 내신을 상대평가하는 현 상태에서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면 신청한 학생 수가 적은 과목의 경우 내신이 불리해져 과목 자체가 개설이 어려울 수 있다”며 “일정 점수 이상을 받으면 그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절대평가)도입이 선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