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협력없인 에너지밸리 성공없다

광주·전남 협력없인 에너지밸리 성공없다

<김성진 호남대학교 초빙교수>
 

지난 2014년 12월 지역주민들의 환영을 받으면서 한전이 나주로 이전하였다. 광주·전남 두지역의 협업으로 다른 지역의 경쟁을 물리친 결과이다. 두 지역이 서로 한전을 차지하겠다고 싸웠다면 지금쯤 아마 다른 지역에 가 있을 것이다. 다시 돌이켜 봐도 빛나는 결정이다. 지금까지의 성과를 보면 더 그렇다.

한전은 나주 이전을 계기로 광주·전남권을 전력산업 특화구역으로 조성하는 ‘빛가람 에너지밸리’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광주·전남을 에너지신산업과 친환경차, 드론산업 등으로 특화하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며 한전공대를 설립해 미래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발전방안도 마련됐다.

한전이 이전 후 올해 9월까지 에너지밸리와 관련해 투자협약을 체결한 업체는 모두 238개나 된다. 당초 올해 말 목표 200개를 훌쩍 뛰어 넘었다. 이들 업체 가운데 공장을 건설중이거나 이미 공장을 가동하는 등 투자를 실행한 업체가 61%, 투자를 준비중인 업체가 39%로 나타났다. 투자금액은 9천560억원에 이른다. 한전은 오는 2020년까지 모두 500개 기업을 유치하고 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로 올 연말까지 그 절반인 250개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과 세계적인 다국적기업도 투자의향을 내비치고 있어 목표달성이 어렵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3년도 안된 시간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성과이다. 더욱이 에너지밸리가 세계 에너지신산업의 메카로 성장하여 일자리와 소득이 만들어지고 청년들이 찾아오게 되면 지역경제의 부흥을 꿈꾸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과와 기대는 한전의 노력뿐만 아니라 두 지역의 지원과 협력의 결과이다. 두 지역의 협력이 없었다면 한전 유치도, 지금의 성과도 모두 물거품처럼 사라졌을 것이다. 지금까지 두 지방정부의 공무원들과 지역주민들이 보여준 협력에 힘찬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이제 시작이다. 아직 에너지밸리의 성과가 지역경제에 파급되려면 해야 할 일이 많다. 인력양성을 위한 한전공대의 설립도 서둘러야 한다. 에너지신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실증단지의 조성과 시험센터도 만들어야 한다.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혁신도시시즌2’ 사업에도 참여해야 한다. 광주와 전남의 협력이 더 필요할 때다.

그런데 이상 징후가 보인다. 한전공대를 둘러싼 지역간 유치경쟁이 심상치 않다. 한전 본사가 나주에 들어선 것을 근거로 한전공대도 혁신도시 또는 그 인근에 설립돼야 한다는 의견과, 광주에 설립해 시·도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견해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나주와 광산구, 서구, 북구 등 기초지자체에서는 의회를 중심으로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다. 더욱이 내년 지자체 선거와 연계하여 유치경쟁이 더 격화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지역간 협의가 되지 않으면 한전공대도 중앙부서의 예산사업도 한발짝 나가기 힘들다. 2~3년의 사업표류가 불을 보듯 뻔하다. 에너지밸리 조성사업도 지지부진해 질 것이다.

답은 명확하다. 광주·전남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이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공동으로 한전을 유치했듯이 후속사업도 ‘내가 먼저’가 아닌 ‘우리 같이’ 협력해서 가야 한다. 갈등의 골이 깊어지기 전에 한전공대 설립을 포함한 에너지밸리사업 추진을 위해 민관공동협의기구 설치를 제안해 본다. 그리고 기초지자체들도 유치경쟁을 자제해야 한다. 한전이 추진하고 있는 용역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자. 광주·전남지역은 상호 보완적인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협력하면 지역경제가 더 빨리 더 많은 성장을 할 수 있다. 에너지신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이다. 광주·전남지역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