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아이들 <하>대책·방안

다양한 욕구 수용하는 맞춤형 지원 필요

사고 방지보다 치유·변화에 초점 맞춰야

‘위기 청소년’ 규정 부정적 인식도 개선

학교 밖 청소년들이 쉽게 범죄 유혹에 빠지는 건 이들을 관리하고 사회 안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지원책이 충분치 않은 게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특히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재개 및 재범 방지 교육이 등 단순히 사고를 막는 것보다 아이들이 치유받고 변화할 수 있는 공간과 프로그램 마련·보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박윤범 광주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팀장은 “학업 중단 청소년에게 초기 대응과 지원을 어떻게 하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체계적인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인 정보동의서를 강제할 수 없어 학교를 떠나는 청소년 중 60~70%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에 노출되게 된다”며 “이렇게 무방비 상태에 노출된 이들 중 상당수가 범죄의 길로 들어서 청소년 지원기관과 접촉할 수 없는 상태로 소외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학교 밖 위기 청소년의 경우 발굴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교육청은 초등학교 1학년과 4학년, 중ㆍ고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매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해 상담 등 관심이 필요한 학생들을 찾아낸다. 청소년이 직접 ‘1388 청소년 상담’을 통해 도움을 요청하기도 한다. 그러나 학교를 다니지 않아 정서행동특성검사를 받지도 못하고 직접 도움을 요구하지 않는 청소년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는 게 현실이다.

광주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관계자는 “광주지역에서 정책적 관리 지원을 받는 학교 밖 청소년 수는 관련법 시행 후 올 9월말까지 1천500여명에 그친다”며 “2015년 추산보다 학교 밖 청소년이 더 늘었을 가능성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학교 밖 청소년이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 또한 문제다.

실제 광주시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에서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한 유형조사(2015년 12월말 기준)에 따르면 ▲학업형 53% (특기·검정고시 등)▲비행형 15% (가출·비행·범죄 등에 연루돼 그만둔 상태)▲무업형 13%(특별한 삶의 계획이나 목표가 없는 상태) ▲혼합형 11% ▲직업형 8%(취업 등 자립 준비) 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홀로 검정고시를 준비하거나, 대안학교, 특성화 학교 등 다양한 교육에 대한 욕구가 커지는 상황에 맞게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식을 다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황수주 북구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장은 “학교 밖 청소년들 가운데 상당수는 ‘대안교육’을 위해 스스로 걸어나온 이들이다. 일부 사례만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위기 청소년’으로 규정짓는 낙인 또는 사회적 편견은 청소년들이 세상과 소통을 끊고, 사회 밖으로 나갈 수 밖에 없는 원인이되기도 한다”며 “학교 밖 청소년들이 꿈과 소질을 찾아 대안적인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인식 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희윤 기자 star@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