私心(사심)을 혁명이라 표현한 윤장현 시장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이 박병규 일자리정책특보를 경제부시장에 내정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5급 상당 개방형 공무원을 1급 관리관에 임명하는 것에 대한 내외의 우려를 의식한 듯 지난 5일 ‘박병규 경제부시장 내정에 부쳐’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박 정책특보의 경제부시장 발탁배경과 의미를 설명했다.

이 성명에서 윤 시장은 “30여 년간 노동현장에 몸담으면서 노조위원장을 세 번이나 역임한 사람을 행정 안으로 들이는 것은 가히 혁명적인 일이다”며 “광주형 일자리 성공과 기업하기 좋고 일하기 좋은 광주를 만들어내는 일에 열정을 다 바쳐 헌신해 왔던 박병규 내정자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윤 시장의 이 같은 설명은 억지(牽强附會)스럽다. 경제부시장은 중앙정부의 경제정책과 연계해 광주경제 정책의 큰 틀을 입안하고 추진하는 자리다. 중앙부처·국회와의 밀접한 소통과 협조요청을 통해 예산지원을 이끌어내는 막중한 요직이다. 윤 시장이 노사 간 협조가 경제정책의 전부인 것처럼 인식하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

박병규 내정자가 윤 시장 취임 후 열정을 갖고 ‘광주형 일자리 창출’과 노사화합을 위해 애써온 것은 인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렇지만 박 내정자의 노력에 따라 광주형 일자리창출이 어떻게 구체화됐으며 현재 광주지역 노조들이 어떻게 실현에 동참하고 있는 지에 대한 객관적 검증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계획만 무성한 것이 사실이다.

윤 시장은 박 내정자 발탁을 ‘혁명’이라 표현했는데 이 역시 적절치 않다. 혁명은 ‘민중이 힘을 합쳐 불의함을 바로잡는 것’을 의미한다. 광주시의 경제행정은 타파나 개혁의 대상이 아니다. 설득과 외연확장이 요체다. 노동운동을 이끌었던 이가 행정 안에서 어떤 ‘혁명적인 일들’을 해낼 수 있을 것이라 믿었기에 그런 표현을 사용했는지가 궁금하다.

윤 시장이 재임에 성공해 임기초반에 박 내정자를 발탁했다면 이는 일견 수긍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기아차 등 거대노조의 협조가 있어야 ‘광주형 일자리 실현’이 사실상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기를 6개월 앞둔 지금 박 특보를 경제부시장에 내정한 것은 정책의 실현성보다는 ‘노조 껴안기’ 성격이 짙다. 사심을 혁명이라 표현한 윤 시장이 보기 민망하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