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교훈 ‘안전한 대한민국’은 요원한가

‘세월호 참사’ 4주기를 맞아 광주·전남 곳곳에서 추모 행사가 열렸다. 지역민들은 이런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세상을 떠난 304명의 넋을 기렸다. 세월호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목포 신항과 진도 팽목항에는 4월 16일을 전후로 추모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추모객들은 빛바랜 노란 리본 위에 새로운 노란 리본을 매며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되새겼다. 부모 손을 하나씩 붙잡고 가는 아이, 교복 입은 딸과 엄마, 머리 희끗희끗한 부부까지 바람결에 나부끼는 노란 리본을 따라 이들은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면서 다시는 이 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하고 또 기원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사회는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모두가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자는데 한마음이었다. 정부도 안전관리에 관한 다양한 대책을 발표하고 규제를 실시했다. 하지만 달라지지 않은 건 여전했다. 세월호 참사 4년동안 해양사고가 되레 늘어난 게 대표적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해양사고는 2014년 이후 오히려 크게 증가했다. 2014년 1천330건이던 해양사고 는이듬해인 2015년엔 2천101건으로 급증하더니, 2016년 2천307건, 2017년 2천582건으로 갈수록 늘어났다.

사망·실종자도 2015년 100명에서 2016년 118명, 2017년 145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 신안군 흑산면 매물도 인근 해상에서 냉동운반선과 어선이 충돌해 어선 선원 3명이 사망하고, 3명은 실종되기도 했다. 지난 겨울에는 영흥도 해상 낚싯배 전복사고가 발생해 충격을 줬다. 안전조치 강화에도 크고 작은 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고질적인 안전불감증이 원인으로 대부분 인재(人災)였다는 점이다. 우리 사회가 언제까지 이런 후진국형 참사를 겪어야 할 지 답답하다. 문재인 대통령의 “세월호 희생자 추모하는 길은 안전한 대한민국 만드는 것” 이란 메시지가 무색한 세월호 4주기였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