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쇼가 아닌 실질적 시민운동 벌여야

광주광역시가 8일 ‘범시민 재난안전추진단’ 을 발족시켰다. ‘범시민 재난안전추진단’(안전추진단)은 안전한 광주공동체 조성을 위해 뜻을 같이하는 광주지역 4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됐다. 광주시는 민선 7기를 맞아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광주공동체 조성을 위해 안전추진단을 가동시키는 한편 시민들의 동참을 유도할 방침이다.

광주시가 ‘안전한 광주’를 위해 시민단체들과 함께 여러 가지 안전운동을 펼치기로 한 것은 매우 의미 깊다. 그러나 시장이 바뀔 때마다, 그리고 광주시에 대규모 국제행사가 열릴 때마다 반짝 되풀이되는 ‘시민안전운동’이 이번에도 계속되는 구나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이번에는 참여하는 시민단체 수가 더 늘었다는 차이밖에 없다.

‘안전한 광주’는 여러 측면이 있다. 길거리 교통안전, 건설현장 안전, 다중이용시설의 안전, 보건위생의 안전 등 여러 분야에서 안전점검과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광주’의 최우선 순위는 ‘길거리 안전’이다. 교통법규준수와 양보·배려가 핵심이다. 길거리가 안전해야 안전한 광주가 가능하다.

즉 안전한 광주의 시발점은 길거리 안전이 돼야한다. 그런데 문제는 길거리 안전을 위한 시의 각종 캠페인과 시민운동이 과거에 수없이 반복됐다는 것이다. 따라서 광주시가 벌였던 과거의 각종 캠페인과 교통사고 줄이기 운동, 주간 전조등 켜기 운동 등이 왜 흐지부지됐는지에 대한 반성과 문제점 분석, 보완대책 마련 등이 선행돼야 한다.

광주시는 강운태 전임시장 시절 ‘교통사고 10% 줄이기’와 ‘주간전조등켜기생활화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였다. 그런데 지금 광주시가 ‘범시민 재난안전추진단’을 발족시키고 벌이겠다는 안전운동 역시 과거의 교통캠페인과 크게 다르지 않다. 과거의 각종 캠페인이 실패로 돌아간 것은 자발적인 시민동참 없는 관제(官制)운동이었기 때문이다.

광주지검이 지난 2015년 10월 시작한 ‘배려 교통문화 실천운동’이 반짝 호응을 얻다가 유야무야 된 것도 시민동참이 적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한 광주공동체 조성’운동이 성공하려면 어떻게든 시민들의 동참을 이끌어내야 한다. ‘횡단보도 앞에서 무조건 일단 정지’와 같은 실천 형 운동이 돼야 한다. ‘쇼잉’(showing)만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