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파괴한 광주읍성·관아 기억해야

오늘은 광복 73주년이 되는 날이다. 광복절이면 뼈아픈 과거에 대한 반성과 함께 교훈을 되새기는 일이 되풀이된다. 그렇지만 광복 후 73년이 되도록 일제가 파괴하고 왜곡한 문화유산과 역사에 대한 복원 및 정리·기념사업은 미진한 상태다. 일제잔재는 여전히 생활주변에 자리하고 있으며 조선역사문화 파괴사(破壞史)는 잊혀지고 있다.

광주는 일제의 조선 역사·문화 파괴와 왜곡이 다른 도시보다 두드러졌던 곳이다. 항일과 독립정신이 높았기 때문이다. 일제는 조선의 정신과 역사가 살아있는 광주 곳곳을 철저히 파괴했다. 조선을 수호하는 나라 신(國神)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직단을 파괴하고 광주읍성을 무너뜨렸다. 500여년을 지켜온 광주관아 역시 모두 허물어버렸다.

일제는 사직단이 있는 성거산을 두동강 냈다. 성거산 가운데를 잘라 광주-남평 간 신작로를 만들었다. 사직단을 없애버리고 대신 일본 개국시조 천조대신을 제신(祭神)으로 받드는 신사를 세웠다. 성거산 5층 석탑을 치우고 그 자리에 일본군 전사자를 기리는 충혼탑을 만들었다. 성스러운 사직단에 벚꽃을 심고 놀이터로 꾸몄다. 능멸이었다.

일제는 광주읍성도 파괴했다. 광주읍성은 1378년(고려 우왕 4년)에 왜구 침략을 막기 위해 축조된 성으로 조선말까지 존재했다. 광주읍성은 매우 큰 성이었다. 둘레가 2.5㎞ 높이는 2.8m에 달했다. 광주읍성에는 남쪽 진남문(鎭南門), 북쪽 공북문(拱北門), 동쪽 서원문(瑞元門), 서쪽 광리문(光利門) 등 4개 성문이 있었으나 일제가 모두 허물었다.

일제는 남한대토벌작전(의병진압작전:1907~1909년) 와중인 1908년부터 광주읍성과 성문을 없애기 시작했다. 광주읍성은 1916년에 완전히 허물어졌다. 관아 건물과 부속 누각 역시 모두 헐리거나 옮겨졌다. 광주목사의 집무실이었던 하모당(何暮堂)과 내아, 문향각(聞香閣), 완대당(緩帶堂), 객사였던 광산관, 황화루 등이 차례로 없어졌다.

지금 광주공원과 광주읍성 성문터, 광주관아 자리에는 이곳이 어떤 자리였음을 알려주는 기념석과 안내판이 거의 없다. 일제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광주의 역사적인 건물과 유적들을 철저히 파괴했는지를 알려줘야 한다. 광주가 안고 있는 치욕의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 역사에서 교훈을 찾는 광주가 돼야 한다. 그것이 의미 있는 광주문화를 만든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