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구체적인 설립안 발표해야”

이재석/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이재석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제2기 민주정부라고 할 수 있는 문재인 정부는 전국 10군데 걸쳐있는 혁신도시를 한층 발전시킬 의무가 있다. 빛가람 혁신도시와 관련한 정책 중 가장 중요하고 미래에 광주·전남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먹을거리를 책임질 수 있는 공약이 한전공대의 설립이다. 한전은 세계적인 에너지 산업을 주도하고, 산학연 클러스터를 조성할 뿐 아니라, 기업들과 상생하고 기업들을 주도해야 한다. 에너지 관련 심화된 교육과 연구를 주도하는 한전공대의 설립은 한전과 함께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을 위한 탁월한 선견지명에 의한 창의적 발상이라고 생각한다.

광주·전남의 시·도민은 희망에 찬 한전공대 설치안이 언제 나올까 학수고대하고 있었다. 최근 새 한전 사장이 부임했으나 한전으로부터 아무런 진전된 한전공대 설립에 관한 정보를 듣지 못한 시·도민은 혹시나 무산되거나 축소되지 않나 우려하고 있었다. 그러한 우려가 최근 뉴스에 발표됨으로써 40도에 다다르는 폭염에 뜨거움을 더하고 있다. 한전에서는 지금까지 추진했던 계획대로 조속히 오는 2022년 개교를 위한 한전공대 청사진을 제시해 광주·전남 시도민의 우려를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한전 측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전공대 설립에 대한 문제점 중, 지역대학이 한전공대의 설립을 반대할 수 있으나, 한전과 국가를 위해 설립하기로 했던 한전의 의지가 중요하다. 또한 지자체간 입지경쟁은 있을 수도 없으며, 우수한 교수와 학생을 유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최적의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광주와 전남은 현안들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미 민선 6기에 광주전남연구원을 통합 설립해 상생을 시도하고 있지 않는가. 예산 문제는 이미 가능성의 검토를 마치고 공약으로 채택한 마당에 사장이 바뀐 후 재정부족을 들고 나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30년 전 포항공대가, 나주에는 동신공대가 설립되었다. 신문지상에는 영·호남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함이라고 보도했다. 30년 후, 우연히 실질적인 균형발전이 가능한 아이러니로 광주·전남 시·도민의 염원을 이뤄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막대하고도 내실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지금 한전에서 생각하고 있는 예산이 충분한지 그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30년 전 포항공대 설립 시와 25년 전 광주과학기술원이 설립된 시기는 서울에 위치한 대학의 연구환경과 비교해서, 새로운 기관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우위를 가질 수 있었다. 30년 전 당시의 한국의 경제 및 연구에 투자한 경비만 검토해서 설립에 필요한 예산으로 적용한다면, 새로 설립될 한전공대가 또 하나의 지역 대학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국내에는 이미 과학기술대학이 다섯개가 있다. 그 기관들과 대등하거나 우위를 가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로 훌륭한 교수의 초빙과 우수한 학생의 모집이 관건이다. 한전공대에서는 교수들이 은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획기적인 은퇴시스템 도입과 함께, 연구개발에서 얻은 특허료는 전액 교수에게 지급하면 어떨까? 은퇴에 가까운 교수들의 연구성과를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젊은 교수들과의 협동교수제도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은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집중하면서 충분한 대우를 받음으로써 학교생활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수한 공대에는 항상 우수한 연구소가 같이 한다. 칼텍이 제트추진연구소를 운영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그 연구소에서는 한전공대와 산업체를 연결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해야 한다. 한전관련 기관에서는 우수한 한전공대 졸업생을 유치함으로써, 한전공대의 우수 인재양성과 함께, 산학연 클러스터의 형성에 앞장서야 한다. 벤처 정신과 기업가 정신이 함께한 우수 학생이 배출되기를 기대하며, 에너지분야에서는 세계의 어느 대학보다 우수한 학교를 지향해야 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