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유족등록, 시비대상 아니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유족등록을 놓고 적정성 시비가 일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설치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는 지난 5일부터 유족 등록 업무를 시작했다. 이는 지난 2004년 노무현 정부에서 국무총리 소속으로 설치돼 2009년까지 운영됐던 심의위원회에 접수된 참여자와 유족수가 너무 적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노무현 정부 하에서의 동학혁명 참여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에는 모두 3천644명의 참여자와 유족 1만567명이 등록됐다. 그러나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결과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는 조선 8도에서 최대 100만 명의 농민이 참여했다. 그 규모를 최대한 축소하더라도 현재의 북한지역을 제외한 남한지역에서만 20~30만 명이 참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학농민혁명이 발생한 직접적인 원인은 조선말기의 부패한 정치 때문이다. 탐관오리들은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키지 않고 백성들을 수탈해 재물을 쌓는 데만 골몰했다. 이 와중에 일제는 조선지배의 야욕을 노골화했다. 백성들은 폐정개혁을 요구하는 한편 조선강점에 나선 일제와 맞서 싸우기 시작했다. 그 전체적인 항쟁과 싸움이 바로 동학농민혁명이다.

동학농민혁명 참가자중 목숨을 잃은 농민들의 수는 학자들에 따라 다르다. 국내 학자들은 5~10만 여명이 희생당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일본학자들은 3~5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희생자들 중 상당수는 전라도 농민들이다. 동학농민혁명의 진원지가 전북 고부·장수 일대였으며 농민군 희생이 컸던 혁명말기 전투가 전남지역 일대에서 벌어졌기 때문이다.

일제는 조선지배의 걸림돌인 조선의 항일세력들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갑오항쟁(동학농민혁명)참가자와 그 가족들을 철저히 말살시켰다. 가담자는 죽이고 역적의 꼬리표를 달아 매장시켰다. 유족들은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었고 성과 이름을 바꾸고 살았다. 그래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갑오항쟁은 역적들이 일으킨 난(亂)으로 전락했다.

일제치하에서 동학농민군 참가자와 가족들은 ‘죄인’으로 살았다. 가족 중에 동학군이 있으면 모든 흔적을 지웠다. 후손들에게조차 할아버지나 아버지가 동학군이었다는 사실을 함구했다. 동학농민혁명은 잊힌 역사가 돼버렸다. 그래서 예전의 유족등록 실적이 저조했다. 역사를 복원하고 조명하는 데는 유효기한이 없다. 시비하는 것 자체가 부끄러운 일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