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규모보다 내실이 중요하다

한전공대 정원규모는 대학원 600명과 학부 400명 등 총 1천명+α(외국인 학생)수준으로, 부지는 120만㎡ 규모로 하는, 밑그림이 그려졌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2년 3월이다. 10일 빛가람혁신도시 한국전력에서 열린 한전공대 설립을 위한 중간 용역보고회에서 용역사인 ‘A.T. Kearney’는 한전공대 설립의 규모와 방향을 제시했다.

AT커니 측은 이날 보고회를 통해 “한전공대 설립의 큰 틀을 ‘작지만 강한’ 소수 정예대학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연구·교육·산학연을 아우르는 ‘에너지 특화 클러스터 리딩 대학’으로 2050년까지 세계 최고 공대 실현을 목표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학교부지는 캠퍼스와 클러스터, 연구시설로 각 40만㎡ 씩 총 120만㎡ 규모다.

학생 수는 6개 전공별로 100명씩 대학원 600명, 학부 400명 등 1천명이다. 입학금과 등록금이 전액 면제되고 아파트형 기숙사가 무료로 제공된다. 2022년 3월 개교를 위해서는 신속한 인허가가 가능한 국·공유지가 최적지로 제시됐다. 장소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합의 추천해줄 것을 제안했다. 입지선정은 내년 상반기까지 마무리 된다.

이런 기본구상에 대해 일부에서는 학생 수와 설립부지가 축소돼 지역민들의 기대에 어긋난다고 지적하고 있다. ‘포스코 보다 한전의 규모가 훨씬 큰데도, 포항공대보다 한전공대의 규모가 작다’는 단순논리다. ‘학과를 겨우 5개로 설정한 탓에 학생 수가 적어졌고 부지 규모도 축소됐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규모에 실망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한전공대가 한국의 에너지산업을 선도하는 신기술을 개발하고 세계적인 공대로 성장하려면 ‘선택과 집중’이 불가피할 것으로 지적된다. 양보다는 질(質)로 승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구나 학생 수 감소로 국내 각 대학의 운영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학부정원을 크게 가져가는 것은 여러 가지로 부담이 크다. 질이 우선이다.

한전 주주 30%이상이 외국자본 소유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한전공대 투자와 운영에는 한계가 있다. 한전공대 설립 초기비용 7천억 원과 이후 운영비를 한전이 모두 감당하기에는 무리다. 정부차원의 제도적 지원과 장치가 마련돼야 석학유치와 안정적 연구개발이 가능하다. 학생 수와 부지규모만을 따지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