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양보로 광주형 일자리 실현시켜야

‘광주형 일자리’ 실현을 위한 광주시민들의 간절한 염원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광주지역에서는 시민단체와 교육계, 학부모· 상공인들이 일제히 나서 광주 형 일자리의 성공을 위해 관계기관과 이해당사자들이 지혜를 발휘해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 형 일자리 성사’를 기대하는 시민들의 바람은 범시민운동으로 발전될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광주형 일자리’ 도입은 좌초위기에 놓여 있다. 대기업 절반 정도의 임금체계를 모델로 한, 현대자동차 완성차 광주 공장 설립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유는 광주시가 광주형 일자리 기본골격으로 ‘주 44시간 근무 초임 3천500만원’을 내세웠지만 노동계는 실제로 3천만 원 선 이하라며 노사민정 참여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노동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은 초임연봉이다. 기아차나 현대차 등 완성차 공장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9천만원대이다. 초임은 기본급 4천여만 원에 상여금과 수당, 성과급을 합쳐 5천여만 원이다. 현대차에서는 연봉초임이 높으면 광주에 공장을 새로 지을 수 없다며 버티고, 노동계는 턱도 없이 낮은 임금이라며 비토하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는 초임연봉을 낮추는 대신 일자리를 대폭 늘린다는 개념이다. 대신 중앙 정부 혹은 광주시가 근로자들에게 의료·주택·육아·교육 분야의 지원수준을 높여 임금감소액만큼의 손실보전효과를 누리게 해주겠다는 것이다. 기업은 생산원가를 줄여 경쟁력을 높이고 고용률을 높이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

노동계는 광주시와 현대차와의 협상 내용이 불투명하다며 등을 돌린 상태다. 현재로서는 지역노동계가 협상테이블에 다시 앉는 것이 선결과제다. 군산 등 다른 지자체와 노동계에서 더 좋은 조건으로 현대차에게 러브콜을 보낼 경우 문제는 더 꼬여질 수 있다. 자칫하면 ‘남의 논에 물대는’ 낭패를 당할 수 있다. 이 좋은 기회를 날려서는 안 된다.

광주형 일자리가 실현되려면 모든 협상과정과 정책결정과정이 투명해야 한다. 반대되는 의견은 조정과 협상을 통해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 어떻게든 가시적인 성과를 내려고 향후 뇌관으로 작용할 사안들을 감추거나 포장해서는 안 된다. 광주경제와 광주청년들의 미래가 달린 일이다. 이기심이나 공명심을 버리고 대승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