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일보·광주전남혁신도시포럼 공동기획>
빛가람 혁신도시 시즌 2 진단과 대안은

<7>에너지밸리 조성
에너지밸리, 4차 산업혁명 요람 ‘발돋움’
총 335개 기업·1조4천억 투자유치 성과
오는 2020년까지 3만개 일자리 창출 목표
정부 차원 컨트롤타워 구축 등 과제도 산적
 

광주·전남공동(빛가람)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에너지밸리’ 투자협약 기업은 총 335개사에 누적 투자금액은 1조4천114억원으로 늘어났다.
사진은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이 지난 9월 한전본사에서 투자협약식 후 기념촬영하는 모습. /전남도 제공

광주·전남공동(빛가람)혁신도시가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을 통해 미래형 에너지 산업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에너지밸리와 시너지를 일으킬 한전공대 설립도 추진 중이다. 여기에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에너지밸리가 포함돼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은 지난 2014년 한국전력 본사가 빛가람 혁신도시로 이전한 것을 계기로 공공기관 지방 이전 목적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세계 에너지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시작됐다. 오는 2020년까지 500개 기업 유치, 3만개의 일자리 창출이 목표다.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은 광주·전남의 기반산업과 연계해 지역경제 재도약의 기반을 제공하고 지역 기업에 에너지 분야로 사업 전환과 신성장동력 확보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경우 빛가람 혁신도시는 단순한 공기업 이전 도시가 아닌 지역사회의 기대를 뛰어넘는 우리나라 ‘에너지 수도’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김황식 위원장(전 국무총리)이 지난달 19일 오후 전남도청 서재필실에서 제7차 에너지밸리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에너지밸리 혁신성장 전략을 주제로 열렸다. /전남도 제공

▶기업유치 목표 달성 ‘순조’
현재 에너지밸리 기업유치는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며 순항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 한전은 지난 9월 빛가람 혁신도시 본사에서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종갑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전기연구원과 비츠로테크 등 25개사와 에너지밸리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두 번째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에너지신산업에 특화된 산업생태계 조성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중견·중소기업, 스타트업, 전력기자재 인증기관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했다.

특히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밸리 분원 설립으로 투자기업의 연구개발 역량과 생산제품 공인인증시험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전력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기술선도기업인 ‘송암시스콤’과 전력기자재관련 중견기업인 ‘비츠로테크’와 협약체결은 미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기업 집적’이라는 에너지밸리 조성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번 협약 체결로 에너지밸리 투자협약 기업은 총 335개사에 누적 투자금액은 1조4천114억원, 고용창출 효과는 8천617명으로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ESS, 신재생, 전력 ICT 등 에너지신산업 분야 기업이 253개로 76%를 점유한다. 투자협약 체결 기업 중 60%에 달하는 200개 기업이 투자를 실행했다.

이 중 134개 기업은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28개 기업은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38개 기업은 용지 매입을 완료했다. 

▶에너지밸리 조성 ‘한전의 힘’
이처럼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이 극적인 성과를 보인 것은 한전의 힘이 크다.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은 한전이 빛가람 혁신도시로 이전 전부터 내놓아 주목받았다.

당시 조환익 한전 사장은 본사의 빛가람 혁신도시 이전을 한전의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그 의지의 대표적 사례로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을 강조했다.

빛가람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광주·전남권을 전력산업 특화 창조경제 혁신구역으로 만들자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그 핵심을 에너지 기업 유치에 뒀다.

이에 한전은 이곳에 투자하는 기업들에 각종 지원을 해주고 있다. 한전은 총 2천억원의 자금을 예탁해, 투자 기업들의 대출 이자를 감면해주는 데 쓰도록 했다. 또 스타트업·벤처기업의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880억원 규모의 ‘에너지밸리 투자펀드’를 조성했다.

판로 지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한전은 제한경쟁을 통해 연간 구매물량의 최대 20%까지 에너지밸리 중심산단인 나주 혁신산단에 입주한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한다. 또한 투자기업 중 우수 기업에 한국전력의 수출 브랜드인 ‘KTP(KEPCO Trusted Partner)’ 사용권을 부여하고 해외전시회 등에 공동 참가해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여기에 핵심인력의 장기 재직 지원을 위한 일자리 드림(Dream)제도를 시행, 양성된 전문인력을 채용과 연계시키기 위해 채용박람회, 찾아가는 청년희망버스, 구인구직만남의 날 등을 개최한다.

지자체와 정치권도 에너지밸리 조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자칫 기업유치 실적을 가져가기 위한 소모적인 경쟁이 일어날 수 있었지만 빛가람 혁신도시 성공을 위한 상생 전략에 모두 ‘올인’한 상태다. 향후 한전공대가 설립되면 광주·전남은 에너지 분야의 기업과 우수인력이 모여드는 에너지산업의 글로벌 허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국회는 지난해 11월 에너지밸리 특별법인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의 지정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을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이 시행령은 국무회의를 거쳐 지난 6월부터 시행에 들어갔으며 에너지밸리 조성에도 속도가 붙게 됐다.

▶전담기구 설치 등 대책 시급
하지만 앞으로 과제도 만만치 않다.

우선 에너지밸리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선 의사결정권한이 있는 위원회나 국가 차원의 전담 기구 설치 등 법적 컨트롤타워 설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에너지밸리 조성에 기초이자 빛가람 혁신도시의 핵심 기반인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외형상 분양 상황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부지별 편중 현상이 심화하면서 빛가람 혁신도시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지속적인 거주민 정주여건 개선도 필요하다. 종사자들의 기대 수준이 높은 만큼 교육, 치안, 생활 전반에 걸친 지역사회의 지원이 계속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아울러 ‘500개 기업 유치, 3만개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 달성도 중요하지만, 지자체의 중복 과잉 투자는 물론 기업의 중복 유치도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에너지밸리 투자기업들이 지역과 국경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자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균형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에너지밸리의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중·서부취재본부/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