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현장> 상처뿐인 CJ 택배노조 파업

김다란(경제부 기자)

지난 11일 CJ대한통운 택배노조가 현장복귀를 선언하고 배송업무 시작했다. 택배노조의 총파업 후 20일 만이다. 그러나 CJ대한통운과 택배노조 간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노사 간 교섭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CJ대한통운 택배노조는 최근 대전에서 잇따라 발생한 택배 노동자 사망 사건의 대책 마련과 지난해 11월 노동부로부터 인정받은 택배 노조의 지위를 사측도 인정하라며 지난달 21일 총파업에 들어갔다. 이번 파업에는 노조원 택배기사 700~800여 명이 참여했다. 광주지역에서도 200여 명의 택배기사가 송암터미널과 북광주터미널 등 총 6곳에서 파업을 했다.

택배배송 업무에 차질을 빚자 CJ대한통운은 광주 등 총파업에 참여의 이유로 배송을 거부한 택배기사들의 지역 고객사를 대상으로 택배 접수 중단 조치를 내리고 대체 배송을 시도했다. 이로 인해 택배노조의 반발이 거세어졌고 파업 기간은 더욱 길어졌다.

그동안 광주의 수많은 소비자들은 적게는 일주일에서 많게는 2~3주가량을 택배를 받지 못했다. 일부 소비자들은 오지 않은 택배를 기다리다 못해 직접 터미널로 물품을 찾아서 집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소비자들의 불편이 커지자 대한통운은 지난 11일 CJ대한통운은 광주와 수원, 울산 등 택배 파업이 마지막까지 이어져 오던 지역에 대한 배송 접수 금지를 풀었다. 접수금지가 풀리고 택배 노동자들이 현장에 복귀하면서 대한통운 사태는 일단락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노조는 그토록 원했던 노사 간 교섭을 이루지 못했다. CJ대한통운은 이미지 타격과 동시에 고객들로부터 신뢰를 잃었다. 아울러 소비자들은 장기간 택배를 받지 못하는 피해를 입었다. 그야말로 출혈로 얼룩진 파업이었다. 서로가 서로의 의견을 인정하고 조율하는 것이 화합의 첫 출발이다. 하지만 1년째 고용노동부의 노조설립필증교부를 인정하지 않는 회사와 이에 맞서는 노조 간 문제를 당사자 간 의견조율로써 해결하라고 하기엔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 이제는 정부가 나서서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할 때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