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현장> ‘공유경제’ 한국 사회서도 꼭 필요하다

임소연 경제부 기자
 

지난 10년간 전세계적으로는 수많은 ‘공유 경제(Sharing Economy)’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며 공유경제가 하나의 시장 트렌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공유경제란 쉽게 말해 하나의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사용하는 이른바 협업소비의 개념이다. 소유자 입장에선 활용도가 떨어진 물건을 통해 수익을 보장받고, 소비자 입장에선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필요한 물건을 사용할 수 있는 소비형태다.

공유경제는 2008년 미국발 경제 위기의 충격 이후 로렌스 레식(Lawrence Lessig) 하버드대 법대 교수가 처음 만들어 낸 개념으로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특징인 20세기 자본주의 경제와 대비돼 21세기 새로운 경제 관념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 기존의 렌탈 비즈니스 시장 규모에 미치진 못하고 있지만 2025년엔 공유경제의 시장규모가 렌탈 비즈니스를 앞설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공유경제 시대에 발 맞춰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광주공유센터를 보유한 우리 지역의 공유 경제 현황은 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 해올 정도로 선두적으로 준비해 나가고 있다.

광주공유센터에는 물건공유, 공간공유, 재능공유, 책장 공유, 차량 공유 등 다양한 공유 공간이 조성됐다. 이밖에도 현재 광주에서 운영되는 공유서비스는 광주시, 자치구, 공공기관과 자전거 대여소 62곳, 장난감 도서관 8곳의 공유물품 대여 등 9개 분야 2천214개의 공유자원을 발굴해 시민에게 개방·운영 중이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일부 분야를 제외하고는 규모가 작고 일반 사용자들이 체감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해외의 공유경제는 활기가 넘친다. 승객운송 분야에서 공유경제를 대표하는 우버 등 다양한 공유경제가 있다. 하지만 한국의 공유경제는 여전히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공유경제는 개인들에게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개인들 간의 거래와 협업 기회를 늘려 공동체의 신뢰를 증진시킨다. 또 물건 소유에 대한 강박을 줄여 소비사회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이런 장점이야말로 현재의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것이다. 공유경제 활성화가 우리 사회문화의 혁신과 경제성장에 중요한 한 축이 될 수 있을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