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설립 ‘기본협약서’의미는
지자체간 부지 선정 갈등 ‘원천차단’의지 표명
세계적 경쟁력 갖춘 대학에 지역역량 결집 ‘최우선’

지난 4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전공대(가칭) 설립을 위한 광주광역시-전남도-한국전력 간 기본협약서 체결식에서 김동찬(오른쪽 두번째) 광주광역시의회 의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송재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이용재 전남도의회의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김동찬 광주광역시의회 의장,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뉴시스

광주·전남의 최대 관심사인 ‘한전공대’ 설립에 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 한전이 최근 한전공대의 성공적 설립을 위한 상호 협력과 적극적인 노력을 다짐하는 기본협약을 맺으면서 이달말 부지 선정 작업도 원만하게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 측은 부지선정이 마무리되면 용역사를 통해 한전공대의 설립과 운영방안을 담은 최종 용역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한전공대 부지선정 ‘맞손’

광주시와 전남도, 한전은 지난 4일 오후 정부 서울청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대회실에서 ‘한전공대의 성공적 설립을 위한 기본협약서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범정부 지원위원장을 맡은 송재호 균형위 위원장을 비롯해 이용섭 광주시장, 김동찬 광시의회 의장, 김영록 전남지사, 이용재 전남도의회 의장, 김종갑 한전 사장 등 6명이 참여해 각각 협약서에 서명했다.

범정부지원위가 협약식에 양 시·도 의회 의장까지 참여시켜 서명을 받은 것은 향후 진행될 공대 입지선정 절차와 결과에 대해 절대적으로 승복하라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한전공대 조기설립을 뒷받침할 기본협약서는 2022년 개교목표 달성을 위한 한전의 노력, 지자체의 입지선정 절차·결과에 대한 수용, 향후 대학 인프라 조성지원 등으로 이뤄졌다.

이날 체결된 기본협약은 입지선정 경쟁에 따른 지자체 간 갈등 해소와 대학 설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

기본협약 체결에 따라 지자체 공대부지 추천 마감일인 오는 8일 이후부터는 전문 용역사 ‘A.T.Kearney’(A.T커니)측이 구성한 ‘심사위’가 본격적으로 공대입지 선정 평가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지 선정 평가는 용역사가 제공한 ‘평가기준’에 맞춰 제안서를 제출한 광주권 자치구 3곳, 전남(나주)권 3곳 등 총 6곳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한전공대 설립 부지 선정은 오는 28일 완료된다. 이에 맞춰 용역사는 대학 설립과 운영방안을 담은 ‘최종 용역’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과제도 ‘산 넘어 산’

하지만 풀어야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한전 측은 부지선정이 마무리되면 예비타당성 심의 준비에 이어 캠퍼스 설계, 학교 법인 설립 인허가 절차 등에 순차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한전공대 설립지원위원회’ 차원에서 한전공대에 대한 예타면제 여부가 논의되고 있지만, 결과는 장담하기 어렵다. 재정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나 특례법 개정 등에 대해서도 일부 야당의 반대가 있어 난관이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부지선정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재정문제나, 예타 심의나 대학 법인 설립 인허가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촉박한 일정상 2022년 부분 개교 목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정부·정치권의 지원과 함께 지자체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 의지도 대학의 설립 성패를 가를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한전 관계자는 “한전공대 부지선정을 기점으로 올해는 대학설립 업무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중요한 해다”며 “아직 중요한 고비들이 남아있지만, 지원위원회 차원에서 논의를 이어가 순차적으로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어 “한전공대 입지 선정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얼마나 경쟁력을 갖춘 학교가 우선이다”면서 “거시적인 안목에서 지역내 역량 결집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전공대는 ‘학생 1천명, 교수 100명, 부지 120만㎡ 규모로 오는 2022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작지만 강한 대학, 즉 강소(强小)대학의 방향성에 맞춰 학생 수는 1천명+α(외국인 학생)으로 정했다.

6개 에너지 관련 전공에 각 100명의 학부생이 필요하다고 보고, 우리나라 과기대 평균 학부생 비율을 따져 최소 학부생을 400명을 잡았다. 교수 숫자는 우리나라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해외 유수 대학의 학생-교수 비율(10명당 1명)을 따져 100명으로 정했다.

부지는 120만㎡로 정했는데 대학 40만㎡, 클러스터 40만㎡, 대형연구시설 40만㎡ 등이다. 학생들에게는 학비 부담과 기숙사 비용을 전액 면제해 주기로 했다.

중·서부취재본부/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