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가람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14년 만에 대장정 완료
지난 2005년 지정된 이후 한전 등 16개 공공기관 ‘새 둥지’
균형 발전 선도·新성장거점 역할 등 지역발전 시너지 기대
정주여건 개선·교육인프라 확충 등 해결 과제도 ‘수두룩’

지난 2005년 지정된 빛가람 혁신도시는 한전 등 16개 주요 공공기관이 이전을 마무리했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신축 상가 등이 들어서면서 ‘상전벽해 도시’가 됐다. 사진은 빛가람 혁신도시 전경. /나주시 제공

광주·전남공동(빛가람)혁신도시가 지정된 지 14년 만에 16개 공공기관의 이전이 모두 마무리된다.

마지막 이전기관인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IPET·농기평)이 오는 28일 입주하면서 빛가람 혁신도시의 마지막 퍼즐이 완성된 것이다.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빛가람 혁신도시 조성은 수도권 인구의 지방 이전 효과, 혁신도시 관할 지자체의 지방세수 증가,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률 증대 등의 성과를 이뤄냄으로써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빛가람 혁신도시는 이제 광주·전남지역 발전의 새롭고 중요한 원동력으로 큰 역할을 담당할 것이란 기대도 크다. 무엇보다 혁신도시 ‘시즌 1’을 마무리하고 오는 2022년까지 공공기관 직원 가족들의 동반 이주율을 높이고 기업 입주 활성화 등에 나서는 ‘시즌 2’ 추진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주여건 개선·완비, 교육인프라 확충, 고형폐기물연료(SRF) 열병합발전소 갈등 등 문제점들은 혁신도시 정착을 위해 하루속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전기관 현황

빛가람 혁신도시는 지난 2005년 정부가 나주시 금천·산포면 일대에 수도권의 15개 공공기관을 이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탄생했다. 당시 한국전력·한국농어촌공사 등 15개 기관으로 결정됐지만, 뒤늦게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추가되면서 빛가람 혁신도시에 새 둥지를 틀게 된다.

이에 따라 빛가람 혁신도시의 이전 대상 기관은 모두 16곳으로 확정됐다.

한국전력공사, 한전KPS, 한전KDN, 한국전력거래소, 한국농어촌공사, 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 우정사업정보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립전파연구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사학연금공단 등이다.

이들 기관들은 지난 2013년부터 최근까지 속속 이전을 마치고 빛가람 혁신도시에서의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특히 이들 기관들은 근무 직원만 모두 7천여명에 달한다.

가장 규모가 큰 곳은 지난 2014년 말부터 빛가람 혁신도시에서 업무를 시작한 한전으로 1천793명(2018년 3월 기준)이 근무하고 있다.

이어 한전KDN은 969명, 우정사업정보센터 770명, 한국농어촌공사 744명, 한국인터넷진흥원 572명, 한전 KPS 552명 등 순이다.

◇인구증가 등 지역발전 견인

이들 16개 기관이 모두 옮겨오면서 가장 눈에 띄는 성장은 단연 ‘인구 증가’다.

혁신도시(빛가람동) 인구는 지난해 9월 기준 1만2천126가구에 3만20명으로 처음으로 3만명을 넘어섰다. 2014년 2월 동 주민센터가 공식 업무를 시작한 지 4년 5개월 만이다. 빛가람동의 인구 증가는 나주시 전체 인구 증가를 이끌었다. 지난 2013년까지 감소 추세이던 나주시 인구는 2014년부터 연평균 3.42%의 인구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0∼14세의 영·유아 및 아동 인구와 30∼44세의 청년층은 연평균 5.5%대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주민센터와 경찰서 등 주민 편익 공공시설도 늘고 있다.

빛가람 혁신도시는 정주 인구만 5만명의 자족도시로 조성되는 만큼 지역민의 기대도 다양하다. 혁신도시는 지역내 인구 이동이 아닌 수만명의 새로운 인구를 유입하는 만큼 지역발전의 핵심 교두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와 인접해 있고 전남 어디에서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부권에 있어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인구 유입 가능성도 큰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혁신도시 상권이 조성되면 다른 대도시 개발지구 상권보다도 발전 가능성이 더욱 클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또 대기업이나 공기업이 부족한 이 지역 특성상 지역 출신 인재들의 사회진출에 이들 이전기관이 큰 역할을 해줄 것이란 기대도 크다. 다만 현재 지역인재 채용비율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상향 조정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 남은 과제는

빛가람 혁신도시가 광주·전남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명품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우선 빛가람 혁신도시 주민들의 ‘삶의 질’성적표는 낙제점에 가깝다. 상당수 주민들은 주거, 편의·의료서비스, 교육, 여가활동 분야에서 큰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회가 발표한 ‘혁신도시 정주여건 만족도 조사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빛가람 혁신도시는 10개 혁신도시 중 만족도가 9위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만족도는 52.4점인데 반해 빛가람 혁신도시는 이보다 낮은 48.9점을 기록했다. 꼴찌인 충북 혁신도시 40.9점 다음으로 낮았다.

특히 학교 등 교육여건 조성은 이전 직원들을 이곳에 정주시키기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수도권에서 옮겨오는 이들의 교육수준을 충족시켜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교급별 교육정책이 제공돼야 한다.

교육수단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면서 수도권 등에 있는 이전기관 직원들의 가족이 옮겨 오기 어려워 혁신도시는 주말이나 휴일이 되면 텅빈 ‘유령도시’로 전락한 상태다.

이와 함께 빛가람 혁신도시의 최대 현안 가운데 하나인 ‘SRF 열병합발전소’ 갈등과 축산악취 문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윤영주 전남도 혁신도시지원단장은 “혁신도시 이전 주민이 광주·전남지역민으로서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며 “빛가람 혁신도시가 이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중·서부취재본부/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