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유공자·유족·정치권·시민 등 5천여명 참석

5·18민주화운동 39주년 기념식 엄수
5·18 유공자·유족·정치권·시민 등 5천여명 참석
文 대통령 "5·18 부정·모욕 망언 너무 부끄러워"
여야 지도부·참석자 모두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비롯한 여야 지도부, 5·18 유공자 및 유족, 시·도지사, 시·도교육감, 일반 시민, 학생 등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월 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렸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오월 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렸다.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비롯한 여야 지도부, 5·18 유공자 및 유족, 시·도지사, 시·도교육감, 일반 시민, 학생 등 5천여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5·18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취임 직후인 2017년 이후 2년 만이다. 지난해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자유한국당 황교안·바른미래당 손학규·민주평화당 정동영·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여야 5당 대표도 일제히 기념식장을 찾았다. 민주당 이인영·한국당 나경원·바른미래당 오신환·평화당 유성엽·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도 기념식에 자리해 민주화 영령의 넋을 기렸다.

기념식은 오프닝 공연, 국민의례,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1시간 동안 진행됐다.

오프닝 공연은 5·18의 역사적 현장인 옛 전남도청에서 39년 전 고인이 된 당시 고등학생의 죽음을 바탕으로 작곡(블랙홀 주상균 씨)한 ‘마지막 일기’로 채워졌다. 이어 5·18에 참여한 학교인 전남대와 조선대 학생 대표 4명, 5·18 희생자 유족 4명이 참석자들과 함께 애국가를 불렀다. 헌화 및 분향은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하고 묵념이 이어졌다.

기념공연에서는 5월 항쟁 당시 가두방송을 했던 박영순씨가 직접 나와 5월 당시 상황을 알리고, 5월 27일 최후의 항전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고(故) 안종필 군의 어머니인 이정님 여사의 사연을 소개했다. 이들의 사연에는 5·18을 기억하고 시대의 아픔을 함께 치유하자는 메시지가 담겼다. 공연은 블랙홀 밴드와 대학연합합창단의 현악 7중주로 펼쳐졌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80년 5월 광주가 피 흘리고 죽어갈 때 광주와 함께하지 못한 것이 그 시대를 살았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미안하다”며 “공권력이 광주에서 자행한 야만적 폭력과 학살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대표해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이면 40주년인 만큼 내년에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저는 올해 꼭 참석하고 싶었다”며 “광주시민들께 너무나 미안하고, 너무나 부끄러웠고, 국민들께 호소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때는 목이 메어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문 대통령은 “아직도 5·18을 부정하고 모욕하는 망언들이 거리낌 없이 큰 목소리로 외쳐지는 현실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나 부끄럽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6월 항쟁은 5·18의 전국적 확산이었고,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광주에 너무나 큰 빚을 졌다”며 “5·18의 진실은 보수·진보로 나뉠 수 없다.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18을 다르게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 참석자 모두 행사 마지막에 ‘님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 2016년 박근혜 정부 당시 총리 자격으로 기념식에 참석했다가 이 노래를 부르지 않은 황교안 대표도 이날에는 주먹을 쥐고 흔들며 함께 불렀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이 끝난 후 김정숙 여사와 함께 희생자들의 묘역을 참배했다.

한편 올해 기념식은 최초로 5·18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장소인 옛 전남도청과 민주묘지를 이원 생중계하는 등 역사성과 현장감을 동시에 추구했다. /정희윤 기자 star@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