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송제리 고분은 백제 왕실 무덤

나주문화재연구소 정밀발굴조사…26일 현장설명회

나주 송제리 고분군에서 나온 은제 관식.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전남 나주시 세지면 ‘송제리 고분’은 백제 왕실의 무덤인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1987년에 도굴된 상태로 세상에 처음 알려진 나주 송제리 고분에 대한 추가 정밀 발굴조사의 중간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나주 송제리 고분’(전라남도 기념물 제156호)은 백제 성왕(523~554)대 왕실 지배층의 무덤으로 나타났다.

중간 발표에는 ▲고분 규모와 구조, 축조 방법 및 새로운 고분 확인 ▲은제 관식과 허리띠 장식 등 백제 성왕대 왕실 지배층 복식과 말갖춤 등 영산강유역 고대 정치조직의 실체와 변화상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들이 공개됐다.

고분 규모는 지름 20m 내외, 높이 4.5m로 원형의 평면 형태이다. 외곽에 원형의 도랑을 갖추고 있는데, 이 내부에서 200여점의 토기 조각이 출토됐다. 돌방은 기초를 1m 가량 다진 후에 분구(봉분)와 함께 쌓아 만들었다.

돌방은 길이 3m, 너비 2.7m, 높이 2.5m인 사각의 평면인 널방(현실, 무덤 속 주검이 안치된 방)의 가운데에 길이 4.2m인 널길(연도, 무덤입구에서 널방에 이르는 통로)이 달린 구조를 갖췄다.

인접 지점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고분 1기가 매장시설이 모두 훼손된 상태로 확인됐다.

돌방 내부에서는 관모장식인 ‘은제 관식’이 나왔는데, 장식 모양이 기존에 발견된 ‘은화관식’과는 다른 형태였다. ‘관식’은 관모에 부착하는 장식으로 백제 지배층 고분에서 주로 나오는 유물이다.

이번에 나온 관식은 풀잎 모양이며 꽃봉오리 모양이 주를 이뤘던 기존 은화관식과 차이가 있다. 출토유물 등을 볼 때 웅진기 말에서 사비기 초의 공백을 메워주는 첫 사례로 평가된다.

은제 허리띠 장식은 허리띠 끝장식, 교구(버클), 과판(허리띠 중간에 부착해 칼이나 화살통 등을 거는 기능을 함)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교구는 버섯 모양으로 교침(버클 가운데 위치한 상하로 움직이는 침)이 없는 형태인데, 백제 웅진~사비기의 과도기적인 모습이다.

이밖에 발견된 청동 잔, 호박 옥, 장식칼 부속품은 공주 무령왕릉 출토품과 동일하며, 관못은 못 머리가 둥글고 은으로 감싼 원두정(圓頭釘)으로 주로 백제 고위층의 무덤에서 확인되는 것이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나주 송제리 고분군 발굴조사를 마무리하면 구조 안전성 점검과 정비·복원을 거쳐 지역민들이 관람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계획이다. 현장설명회는 26일 오후 2시에 열린다. 나주/정도혁 기자 vsteel@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