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현장> 과열된 지자체 금고 유치 경쟁으로 지방은행 ‘비상’

<임소연 경제부 기자>

올해 말로 광주지역 일부 자치구 금고 약정기간이 만료되면서 차기 구금고 지정을 놓고 지역 향토은행인 광주은행과 시중은행들간 사활을 건 총력전이 예고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지방은행은 1967년 지역경제와 금융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정부의 1도 1은행 정책’에 따라 대구은행을 시작으로 총 10개의 은행이 설립됐다.

지방은행은 지역민과 함께하며 각 지역을 대표하는 우량은행으로 성장했다. 이에 보답하고자 해당 지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으며 실제로 지난해 상반기 기준 순이익의 약 13%(지방은행 평균)를 지역사회에 기여 했다.

특히 광주은행은 최근 광주형일자리 사업에 260억 원을 출자하고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공식 후원, 광주FC에 지속적 후원 등 지역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역의 각종 공익사업에 참여하며 연간 100억 원 이상의 금액을 지역사회에 기부, 매년 신입사원을 채용하며 지역 사회 일자리 창출에도 힘쓰고 있다.

광주은행은 지속적인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면서 지자체 금고 22곳과의 약정도 맺고 있다. 보통 지자체 금고는 수도권은 시중은행이, 지방은 지역은행이나 농협이 주로 맡아왔다.

하지만 최근 과열된 지자체 금고 유치 경쟁으로 광주은행 뿐만 아니라 지방은행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경기가 악화되고 부동산 대출 규제 등이 강화됨에 따라 시중은행의 새로운 먹거리로 금고유치가 전락했다. 시중은행이 막대한 자금력을 이용해 지방 지자체 금고 유치 경쟁에 뛰어 들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은행이 금고 경쟁까지 시중은행에 밀린다면 공공자금의 역외유출은 물론 지역 중소기업 지원과 사회공헌 축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지방은행은 운용자금의 대부분을 지역상공인과 서민을 위해 지원하고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을 억제해 지역경제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지방은행들은 해당지역에서 가장 많은 점포를 개설하고 있어 지역민들이 가장 가깝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때문이라도 차제에 지역경제를 살리는데 합리적인 은행으로 금고를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