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오리 지느러미로 모방…오염물질 방지 기술 개발

연합뉴스 캡쳐
국내 연구진이 지느러미를 자유자재로 움직여 모래를 털어내는 가오리에서 착안, 물질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정훈의 교수와 포항공대(포스텍) 이상준 교수는 자석에 잘 달라붙는 소재를 이용해 가오리 지느러미를 모방한 ‘움직이는 표면’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물질 표면에 미생물 같은 오염물이 달라붙지 않도록 막는 방오(防汚) 기술에는 자연모사기법이 흔히 이용된다.

자연모사기법은 자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효과적인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가령 매미 날개의 독특한 표면에서 착안해 미생물을 제거하는 구조를 개발하는 식이다.

주로 생명체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응용하거나 미세구조를 본떴는데, 화학물질이 분해되거나 표면이 마모되면 기능을 잃어버리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주름 형상의 반복적인 변화를 이용하는 기술이 연구됐지만, 이 또한 이미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원천적으로 오염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정훈·이상준 교수팀은 표면 자체 특성이 아닌 표면의 움직임을 모방해 이런 한계를 극복했다.

바닷속 모랫바닥에 사는 가오리의 지느러미가 파도타기를 하듯 연속적으로 바뀌며 이물질을 털어내는 모습에서 실마리를 얻어 ‘움직이는 방오 표면’을 만든 것이다.

가오리 지느러미는 모양이 변하면서 그 표면에 소용돌이 흐름인 ‘와류’가 형성되는데, 이것이 오염물질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또 지느러미에는 표면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이 만들어지는데, 이 힘은 표면을 마치 빗자루로 쓸어내듯 훑어서 오염물질 부착을 막는다.

정 교수는 “움직임을 이용한 이 기술은 그동안 움직이지 않는 방오 시스템의 구조와 성능적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라며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오염 방지가 필요한 의료기기나 해양 구조물, 선박 표면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1월 30일 자에 게재됐다.
/오승현 기자 romi0328@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