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

“이번엔 찾을까” 옛 광주교도소 추가 발굴조사
5·18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
내달 1일까지 교도대 뒷편 조사
2월 말부터 진상조사위가 주관
 

28일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묘지 인근 텃밭에서 5·18 민주화운동 당시 사라진 사람들 흔적을 찾는 발굴조사에 앞서 개토제가 열리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5·18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 유해를 찾기 위한 5차 발굴 조사가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본격 시작됐다.

5·18기념재단은 28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교도대 북쪽 일원에서 개토제와 기자회견을 열고 암매장 추정 장소에 대한 발굴 조사 계획을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19일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묘지에서 신원미상 유골 40여구가 발견된 것과 관련 추가 발굴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마련됐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유족회와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등 5·18 단체와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법무부, 국방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발굴 계획을 들었다.

발굴 조사는 지난 2017년 1차~4차에 걸쳐 암매장 발굴 조사를 수행한 대한문화재연구원이 맡아 옛 광주교도소 경비교도대 건물 뒷편 2천888㎡ 부지에서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다음달 1일까지 진행된다.

교도소 북쪽 무연고 수형자 공동묘지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불자의 주요 암매장지로 지목돼 왔다. 이번 발굴 조사 장소는 공동묘지 바로 옆이다.

문화재연구원은 발굴 첫째, 둘째날인 28, 29일 사전 준비의 일환으로 조사대상지 주변 잡초를 제거한 뒤 발굴 장소를 6, 7개 구역으로 나눠 조사 범위를 확정할 계획이다.

본격 발굴 작업은 셋째 날인 30일부터 시작된다. 발굴조사단은 굴삭기를 활용해 표토층의 50㎝가량 땅을 파내고, 이 과정에 흙 성분 이외의 성분이 발견되면 5·18 단체와 법무부 등과 협의해 추가 굴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발굴 조사가 진행되는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경비교도대 건물 뒷편 모습. /정다움 기자 jdu@namdonews.com

유해 흔적 발견시 고고학자와 법의학자, 치의학자, 형질인류학자 등 전문가들이 수습에 나선다. 이들은 광주지검의 지휘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하며 유전자 분석 작업은 전남대 법의학교실이 담당한다.

발굴 마지막날인 다음달 1일에는 유해 발견 유무에 따라 조사 연장 및 현장 복구를 결정하고 기초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이와 함께 조사단은 유해 발굴 현장 보존을 위해 발굴 조사 기간 보안 시설물을 설치해 외부인의 출입을 막고, 발굴 과정을 사진과 도면으로 상세히 기록할 계획이다.

이날 송선태 5·18진상규명조사위원장은 “5·18민주화운동 후 옛 광주교도소로 재편성된 계엄군이 시민군의 사체를 처리했다는 증언이 있다”며 “28구가 암매장됐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재까지 11구만 발견됐고, 나머지 17구는 40년간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법무부가 관리하고 있던 옛 광주교도소 전역을 추가 발굴 대상으로 지정해야 한다”며 “진상조사위 조사관 구성이 마무리되는 2월 말부터 다른 추가 발굴조사는 진상조사위 주관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일 대한문화재연구원 실장은 “인근에서 신원미상 유골이 발굴된 만큼 신중하게 조사에 임하겠다”며 “오는 31일쯤이면 대략적인 조사 결과 윤곽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다움 기자 jdu@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