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재해위험 식별 통해 이상 기후 대응 해야”

농촌경제원, 기후 변화와 농업 생산성 연구 분석

발생 수치·강도 등 파악…자료 구축 필요 지적

이상기후에 따른 농업 생산 피해 최소화를 위해선 지역 및 시간별로 구분해 이를 데이터화 하고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KREI)에 따르면 KREI는 최근‘이상기후가 농업부문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이상기후 발생 빈도와 강도 증가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책적 대응 방안으로‘재해위험식별’필요성을 강조했다.

재해위험 식별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재해 위험과 이에 대한 사회의 대응 능력, 사회 구성원 인식 및 이해도 등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재해위험관리의 시작점으로 재해위험관리 정책의 모니터링과 평가 그리고 재원배분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하지만 국내 농업부문의 이상기후 대응 재해위험관리 정책은 재해위험식별에 비해 대비 및 대응·복구활동 등을 의미하는 재해관리와 농업재해보험 등 재해위험전이에 대한 정책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이상기후의 발생 빈도와 강도 변화의 직간접적 경제적 영향, 그리고 취약성 계측 등에 관한 연구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국제기구와 호주, 미국의 재해위험관리 정책은 재해위험식별 단계를 매우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법령이나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성재훈 부연구위원 등 연구진은 과거 기상자료, 기상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등을 바탕으로 이상기후 발생 빈도 및 강도, 이로인한 경제적 영향의 변화, 그리고 시군별 이상기후에 대한 취약성이 지역별·시간별로 서로 상이한 것을 밝혀냈다.

결국 효과적인 이상기후 대응 재해위험관리를 위해서는 재해위험식별이 우선적으로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제도적 장치, 지역·민간·중앙정부 간의 유기적인 협력, 그리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재해위험식별 방법론과 자료 구축의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성재훈 부연구위원은 “이상기후 관련 정보에 대한 농가들의 수요를 정확히 반영해 이상기후 관련 정보의 현장활용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서부취재본부/심진석 기자 mourn2@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