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계 사라지지 폭력 망령’은 이제 그만

철인 3종 국가대표를 지낸 고 최숙현 선수의 극단적인 선택으로 체육계의 고질적인 인권침해 문제가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최숙현 선수 문제가 불거지자 사법당국은 수사에 돌입했고, 정부와 정치권과 일제히 엄벌을 강조하면서 재발방지를 외치고 있다. 체육계와 교육계, 행정기관 등은 운동선수 인권침해 실태점검 및 조사에 나서고 있다. 데자뷰다.

2년 전 쇼트트랙 심석희 선수의 ‘미투’때도 비슷했다. 정부와 정치권, 체육계가 앞다퉈 (성)폭력 근절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바뀐 게 무엇인가. 잠잠해질 만 하면 비슷한 일이 반복되고 있다. 최숙현 선수가 말해주듯 재발방지책은 겉돌았고, 자정노력은 진정성이 없었던 것이다.

광주와 전남 체육계도 마찬가지다. 운동선수에 대한 신체적 가혹 행위나 폭행, 심지어 부적절한 뒷돈 요구까지 운동부를 둘러싼 잡음과 갈등이 끊이질 않고 있다. 최근 광주에선 선배가 후배를 폭행한 사실이 연이어 알려져 파문이 일었다. 한 중학교 운동부 지도자는 가혹행위 혐의로 1심에서 유죄를 선고받았다. 전남에선 여중·여고운동부를 지도한 코치가 학부모 8~9명으로부터 매월 30만원 가량을 ‘훈련비’ 명목으로 받아 챙겼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제2의 최숙현’ 사건이 지역에서도 버젓이 발생하고 있었던 셈이다.

체육계의 폭력은 체벌을 통해서라도 성적만 좋으면 된다는 성적 만능주의, 폐쇄적인 조직 문화 등이 작용한 결과다. 하지만 그 어떤 억압과 폭력도 성적 향상 또는 메달을 위해서라는 이유로 정당화될 수는 없다. ‘잘 가르치려는 의욕이 넘쳐서’란 말도 명분이 안 된다. 체육계는 하루빨리 과거의 악습과 단절해야 한다. 특히 학생선수를 가르키는 지도자들은 교육자로서 자질을 함양시키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 ‘체육계 폭력은 사라지지 않는 망령’ 이라는 비난을 언제까지 들을 것인가.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