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2022년 3월 개교 불투명
착공 지연 불가피…특별법 제정 요구 높아
임대 캠퍼스 활용 방안도 규제에 발목

세계 최고 에너지특화 공과대학을 목표로 하는 한전공대 설립작업이 한창이나 착공이 늦어지면서 2022년 정상 개교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사진은 한전공대 조감도./남도일보 DB

한전공대 개교를 둘러싼 문제를 두고 연일 시끄럽다. 건축 설계 등 여러 항목들에 추진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지면서 오는 2022년 3월 개교가 불투명해질지 모른다는 불안감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 설립을 위한 특별법 제정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등에 따르면 한전공대 설립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개교 1년전(2021년 3월)까지 교사(캠퍼스)면적 2만㎡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전은 4월 ‘캠퍼스 종합계획(마스터 플랜)과 1단계 건축’ 설계 공모 마감을 통해 디에이그룹의 출품작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하지만 캠퍼스 건축 컨셉 등이 맞지 않다는 의견에 따라 3개월 간의 디자인 수정기간을 거쳐 지난 7월께 설계 용역계약을 체결했다.

애초 계약이 늦어짐에 따라 대학본부, 강의동 등 시설 설계도 내년 상반기에나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곧바로 착공을 해도 3년여 가까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사실상 2022년 3월 개교가 어렵다는 것이 한전측 설명이다.

출구전략 차원에서 한전이 꺼내든 카드가 혁신산업단지에 건설 중인 ‘한전 에너지신기술연구소(1만7천㎡)’를 임대교사로 활용하자는 방안이었다.

하지만 현행 고등교육법상 대학 본부지가 아닌 곳에 확보한 임대교사는 인정해 주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기간단축을 위해 ‘모듈형 건축’ 기법을 활용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하지만 ‘모듈형 건축’의 경우 필요한 여러 부분을 다른 곳에서 먼저 만들어와 조립하는 방식인데 국내에서 모듈을 제때 공급 받기 어려워 기간내 건축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세계 최고 에너지대학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한전공대인 만큼 건립 목적과 이념에도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다수다.

1단계 캠퍼스 건축 면적(3만1000㎡)에서 개교에 필요한 최소면적(2만㎡)만 따로 떼어 설계하고 모듈형 건축공법을 적용해 설계와 동시에 시공하는 이른바 ‘턴키방식’도입 가능성도 언급됐지만 심의에 발목이 잡혀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공대 정상 개교를 위해선 학교설립에 속도를 더해줄 특별법 제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신정훈(전남 나주·화순) 국회의원이 의원 입법 발의를 통해 ‘한전공대 특별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결과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와관련 한전 관계자는 “현재 학교 정상 개교를 위한 다각적인 보안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며 “교육부 등과 논의를 거쳐 해결 방법을 모색해 보겠다”고 밝혔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