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무명열사 이번엔 신원 밝혀질까?
진상조사위 현장조사 나서, 무명열사 3명 뼛조각 채취
최신 DNA 분석 기법 적용 “유가족 품으로 돌려드릴것”

19일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무명열사’의 유골을 채취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무명열사의 묘에서 채취한 희생자 유골 3기의 DNA를 행방불명자 가족찾기 혈액 채취 신청자와의 유전자형을 비교해 신원을 확인할 예정이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40년동안 생사조차 확인 못한 광주 5·18 행방불명자의 흔적을 찾고자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가 첫 현장조사에 나섰다.

19일 오전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는 묘비에 이름 대신 ‘무명열사’가 새겨진 5·18 희생자 3명의 뼛조각을 채취하기 위한 분묘개장이 진행됐다.

올해 1월 출범한 조사위가 첫 번째 현장 조사 일정으로 진행한 이번 분묘개장에서는 유전자(DNA) 시료가 소진된 무명 열사들의 뼛조각이 추가로 확보됐다.

조사위는 DNA 분석 기술이 크게 발전한 만큼 무명열사의 뼛조각을 최신 기법으로 다시 분석할 계획이다. 분석에서 얻은 정보는 5·18 당시 행방불명된 가족을 찾아달라며 혈액 채취에 참여한 이들의 유전자형과 비교될 예정이다.

앞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남대학교 법의학교실이 시행한 DNA 조사에서는 무명열사 11기 가운데 6기의 신원만 확인됐다.

조사위는 신원미상 상태로 남은 5기의 무명열사 가운데 그간 DNA 검사로 뼛조각이 소진된 3기의 분묘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이들 희생자 3명은 사망 당시 만 4세로 추정되는 어린이 1명과 성인 2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1980년 5월 20일에 사라진 아들 이창현(당시 7세) 군을 찾아 40년 동안 전국을 헤맨 이귀복(84)씨가 전날 조사 취지를 전화로 통보받았다. 이씨의 사연은 2년 전 5·18 38주년 기념식에서 영화 ‘화려한 휴가’와 ‘택시운전사’의 장면이 섞인 씨네라마 형식의 공연으로 재조명 된 바 있다.

조사위는 삼촌이나 조카 등 방계까지 확인할 수 있는 유전자 검사 기법을 활용해 정확도와 확인율이 이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TR(짧은 반복서열)뿐만 아니라 SNP(단일염기 다형성) 분석 기법까지 활용될 검사 기법은 제주 4·3항쟁 희생자의 신원 확인과 이산가족 상봉, 미아 찾기 등에도 적용됐다.

조사위는 행방불명자 가족 찾기 혈액채취 신청자의 유전자형과 일치하는 정보가 없다면 경찰청이 미아 찾기를 위해 구축한 유전자 DB와도 대조할 방침이다.

이날 안종철 조사위 부위원장은 “이번 현장조사에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결과를 이끌어내고자 한다”며 “행방불명자들의 유해를 반드시 확인해 유가족이 40년간 간직해온 슬픔을 위로할 것이다”고 밝혔다.
/김영창 기자 seo@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