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8명 “기업체로부터 차별경험”
산학연계 강화·지역인재 할당제 필요
채용정보업체‘잡 링크’설문

지난 2월 전남대를 졸업한 이모씨(26)는 지난 7개월간 대기업과 외국계업체, 벤처 등에서 실시한 수시채용에 14차례나 지원서를 내봤지만 면접기회조차 얻지못한 채 번번히 고배를 마셔야만 했다.
4년간 평균학점 3.7에 토익 890점(1등급·860이상)도 모자라 6개월간의 캐나다 어학연수까지 마친 이씨지만 ‘지방대 출신’이라는 꼬리표는 끝끝내 취업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씨는 “소위 ‘괜찮은 기업’들의 경우 지방대 출신이라면 원서조차 거들떠보지 않는 것 같다”며 “기분 같아서는 취업을 포기하고 친구 몇몇과 모여 개인사업을 하든지, 차분히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싶다”고 절절한 심정으로 하소연했다.
또 다른 취업준비생 김성주군(25·전남 M대학 4년)은 “최근 국내 모 대기업에 온라인으로 입사지원을 하려다가 ‘학교명’검색란에 우리 대학이 누락된 것을 알고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었다”고 말했다. 기업체들의 지방대생 채용차별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올 하반기 대졸자 취업문이 예년보다 다소 넓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곤 있으나 지방대 출신자들의 체감 취업지수는 여전히 꽁꽁 얼어붙은 것으로 조사됐다.
채용정보업체인 ‘잡 링크(www.joblink.co.kr)’가 최근 광주·전남지역 등 지방대 4학년 재학생 및 지역 출신 취업준비생 1천3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응답자의 78.2%( 1천58명)가 지방대생 취업난의 주된 이유로 ‘사회적 선입견’을 꼽았다.
이어 ‘취업관련 정보부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4%(276명)에 달했고, ‘능력 부족’과 ‘자발적 구직의사 부족’은 각각 1.0%와 0.4%에 그쳤다.
올 하반기 취업에 대해서는 82.1%(1천110명)가 심각하거나 매우 심각하게 느끼고 있다고 답했으며, 76.7%(1천37명)는 구직과정에서 차별받은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54.6%인 738명은 ‘취업을 위해 상경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으며, 그 이유로는 ‘기업체수와 좋은 직장이 많아서’(73.6%), ‘취업희망 기업이 서울에 있어서’ (25.2%), ‘무작정’(0.9%) 등이었다.
지방대생 컴플렉스에 대해선 무려 97.0%(1천312명)가‘있다’고 답했으며, 10명 중 9명은 ‘전공과 상관없이 취업할 생각’(90.7%, 1천226명)임을 피력했다.
지방대생 취업난 해소책으로는 ‘기업과 학교간 활발한 산·학연계’(61.7%), ‘지방대생 채용 쿼터제’(23.4%),‘폭넓은 취업교육과정’(9.4%),‘개개인의 구직노력’(5.5%) 등이 제시됐다.
전남대 취업정보실 관계자는 “대기업들의 경우 입사원서의 70∼80%를 수도권에 배부하는 반면 지방은 전남대나 부산대 등 명문대에도 고작 5% 정도만 뿌리고 있다”면서 “지역대 출신 임용쿼터제를 골자로 마련된 ‘지역대 육성특별법’도 장기간 국회 계류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는 최근 모 언론과 가진 인터뷰에서 지역불균형 해소차원에서 공공기관, 정부투자기관 직원채용때 인재 지역할당제 추진방침을 밝혀 관심을 모았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