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시·도 교육청이 추진중인 교육정보화 컨텐츠 개발사업이 초등학교와 중학교, 일반계 고교 위주로 이뤄지면서 실업계 고교와 유아·특수학교용 컨텐츠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시·도 교육청이 최근 국회 교육위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학교정보화의 한 축인 컨텐츠개발 분야의 경우 숫적으로 많은 일반계 중심으로 이뤄지다 보니 특수학교와 실업계 고교 등은 상대적으로 소외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광주의 경우 최근 3년간 개발된 110종의 컨텐츠 가운데 실업고생들을 위한 컨텐츠는 단 1종도 없고, 유치원·특수학교용 역시 7건에 불과했다.
전남의 경우도 사정이 비슷해 지난 2000년 64종, 지난해 164건, 올 상반기 164건 등 모두 392건을 개발했으나, 이 가운데 94.3%(370건)는 일반 초·중등학교용이다. 실업계 고교용 컨텐츠는 고작 21건(5%)에 불과하고, 유아·특수용은 단 1건에 그치고 있다.
개발실적 못잖게 연구개발비 지원도 불균형이 심각하다.
광주의 경우 초등·중등용 컨텐츠 개발을 위해 최근 3년동안 9천700만원, 2억6천800만원, 5억5천400만원 등 모두 9억1천900만원을 지원한 반면 유아·특수교육용은 기껏 2천만원에 불과하다. 그나마 지난해 이후에는 단 한푼도 지원실적이 없다. 실업계 고교용 개발도 3년간 지원금액이 전혀없다.
전남 역시 실업고·특수학교용 예산이 최근 3년간 전체예산(5억9천200만원)의 1.9%수준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보화 시대를 맞아 학교의 특성이나 계열 등에 상관없이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학교에 골고루 제공될 수 있도록 당국의 체계적인 배려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이와관련 교육청 관계자는 “실업계용이나 특수학교용은 수요가 한정되다보니 민간업체가 저수익을 이유로 개발에 나서지 않는 배경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