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권주자 격돌…광주서 첫 합동연설회

우원식 “민생”·송영길 “반성”·홍영표 “정당 중심”
민주당 당권주자 격돌…광주서 첫 합동연설회
우원식 “단결·민생이 방안…현장이 답” 제시
송영길 “계파 자유로운 내가 돼야 정권 재창출”
홍영표 “당과 후보 함께 대선 치러야…정당 책임”

 

민주당 당권주자, 광주서 합동연설
20일 광주광역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광주·전남·제주 합동연설회에서 홍영표(왼쪽부터)·송영길·우원식 후보가 정견을 밝히고 있다. /임문철 기자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홍영표·송영길·우원식(기호순) 의원은 20일 호남에서 열린 첫 합동 연설회에서 자신이 당을 이끌 적임자임을 자처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이날 오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민주당 광주·전남·제주 순회 합동연설회’에서 우 후보는 ‘민생’, 송 후보는 ‘반성’, 홍 후보는 ‘민주당 주도권’을 각각 강조해 자기 색깔을 분명히 드러냈다.

정견발표 첫 주자로 나선 우원식 후보는 “저는 당 대표 선거에 나와 ‘민생으로 정면돌파 해야 한다’는 이 하나만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다”며 “국민이 알려주신 길이기 때문”이라고 힘 주어 말했다.

그는 “총선승리와 보궐선거 패배 사이, 그 1년간 국민이 겪은 가장 큰 삶의 변화는 먹고사는 일”이라며 “검찰개혁, 국민 다수가 지지하고 요구하는 것이지만 소리는 요란한데 성과가 더뎠다. 그러는 사이 국민의 삶은 하루하루 점점 더 힘들어졌다”고 재보선 참패 원인을 진단했다.

또 “국민의 민생이 절박하다고 그렇게 소리치고 있는데 우리 안에서 갑론을박, 여기에만 묶여있을 것인가”라며 “이러한 논쟁의 쳇바퀴에서 뛰어내리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단결과 혁신, 민생이 방안이고 현장이 답”이라고 돌파구를 제시했다. 우 후보는 ▲자영업자 손실보상 소급 적용 ▲당내 부동산 종합대책기구 설치 등의 공약을 내세웠다.

두번째 주자로 나선 송 후보는 “국민의힘이 정권을 잡는다 생각해 보라. 모든 것이 후퇴할 것”이라며 “3당 야합 이후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께서 땀과 눈물로 만든 부울경을 비롯한 취약지역의 민주당의 지방정부 교두보가 무너질 것이다. 호남을 고립시킨 망국적 지역주의가 부활할 것”이라고 위기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번 20군데 보궐선거에서 호남을 제외하고 모두 패배했다. 전조가 보이고 있다”며 “처절한 자기반성을 통한 개혁과 혁신만이 우리 민주당을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계파와 파벌에서 자유로운 송영길 공정하고 투명하게 대선 경선을 관리하겠다”면서 “대통령 후보의 상임선대위원장이 되어 4기 민주 정부 수립의 선봉이 되겠다”면서 탈(脫) 계파를 어필하기도 했다.

그는 공약으로 ▲정부의 백신 확보·생산 뒷받침 ▲누구나집 프로젝트 통한 무주택자, 청년, 신혼부부들의 집 문제 해결 ▲2차 공공기관 이전 추진 등을 약속했다.

마지막 주자인 홍영표 후보는 “김대중·노무현 두 분 대통령과 함께 지켜온 가치와 정체성을 다시 세우겠다”며 “유능하게 혁신하겠다. 국민과 함께하는 개혁으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정당이 국가운영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그 결과에 함께 책임지는 정당 책임정치를 구현하겠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실현하고자 했던 명실상부한 민주당 정부의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정당 책임정치로의 일대혁신은 이번 대선부터 시작돼야 한다. 당이 후보와 함께 중심에서 대선을 치러내겠다. 캠프가 아니라 당의 공약과 정책으로 대선에 임하겠다”며 “정당 책임정치로 근본적 혁신을 통해 제4기 민주 정부를 세우겠다”고 말했다.

이어 “혁신, 단결, 승리로 제4기 민주당 정부를 만들겠다”고 정권 재창출을 다짐했다.

최고위원에 출마한 강병선·황명선·김용민·전혜숙·서삼석·백혜련·김영배(기호순) 후보도 호남 연설회에서 첫 메시지를 내놓았다.

민주당 당권주자들은 이날 오전 광주·전남·제주 권역 연설회를 시작으로 오후에는 전북 권역 연설회를 차례로 갖고 호남 민심에 적극 구애했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