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일 남도일보 편집국장

우리나라 배달 음식의 역사는 그리 짧지 않다.

첫 기록으로 확인되고 있는 것은 조선 후기 실학자 황윤석(1729~1791)의 ‘이재난고’다. 당시 배달 음식은 냉면이었다. 1768년(영조 44년) 7월 일기에서 그는 “과거시험을 본 다음 날 점심에 일행과 함께 냉면을 시켜 먹었다”고 적었다.

궁중에서 즐기던 고급 요리인 냉면이 양반층에까지 인기가 높아지면서 배달까지 가능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원(1814~1888)의 ‘임하필기(林下筆記)’에는 순조가 즉위 첫 해인 1800년 군직과 선전관을 불러 달구경을 하다가 시장기가 돌았는지 “냉면을 시켜 먹자”며 당직 군사에게 대궐 밖에서 냉면을 사 오라고 시켰다는 기록이 나온다.

대개는 냉면이 시원한 여름철 별미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때만 해도 냉면은 ‘선주후면(先酒後麵)’이라 해 밤늦게 술을 마신 뒤 마무리로 즐기는 음식이었다.

흔히 최고의 냉면이라면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을 떠올리기 쉬우나 조선 후기에는 ‘평양냉면’과 ‘진주냉면’을 으뜸으로 꼽았다. 두 곳 모두 교방문화(敎坊文化)가 발달한 곳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20세기가 되자 자전거의 보급 확대와 함께 음식 배달에도 전성기를 맞는다.

냉면 배달의 성행은 1906년 7월 14일자 ‘만세보(萬歲報)’에 20세기 최초의 조선 요리옥인 명월관(明月館)의 음식 배달 광고로 나타난다. 치열한 경합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음식 배달은 가짓수의 한정에도 불구하고 성장에 성장을 거듭했다.

1936년 7월 ‘매일신보(每日申報)’에는 “여름 한 철 경성의 관청과 회사의 점심시간이면 냉면집 전화통에서 불이 날 지경”이라고 했다.

배달 음식 중에 냉면보다 훨씬 인기를 끈 것은 해장국인 ‘효종갱(曉鐘羹)’이었다. 조선 후기 문신인 최영년(1856~1935)이 1925년 쓴 ‘해동죽지(海東竹枝)’에도 효종갱의 배달 기록이 나온다.

‘새벽종이 올릴 때 먹는 국’이라는 뜻을 지닌 효종갱은 남한산성 일대인 경기도 광주 인근 갱촌에서 밤새 국을 끓여 새벽녘 통행금지 해제를 알리는 종이 울리면 사대문 안의 양반가에 배달이 됐다. 겨울에도 솜 같은 것으로 싸 온기가 유지된 상태로 전달되면서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던 양반들의 새벽 속 쓰림을 달래주는 용도로 인기가 높았다.

잡지 ‘신민(新民)’의 1927년 8월호에는 “서울 명물인 설렁탕을 배달하는 사람과 좁은 거리에서 자전거를 타고 바람같이 달려가는 일본인 음식 배달부, 종로 네거리로 가로세로 달리며 냉면과 장국밥을 돌리는 전문배달업이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또 다른 잡지 ‘신여성(新女性)’의 1933년 12월호에는 집안에서 설렁탕이나 냉면, 장국밥 같은 것을 주문해 먹고 배달부를 가장한 엉뚱한 사람에게 음식값을 주는 바람에 그릇 값까지 물어주는 피해 사례를 들어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한 손으로는 자전거 핸들을, 다른 한 손에는 냉면 여러 개를 들고 달리는 배달원의 묘기에 가까운 모습은 ‘신동아(新東亞)’ 1933년 6월호에 실린 삽화를 통해서도 생생하게 다가온다.

그렇다고 일각의 주장과 같이 주요 배달 품목인 냉면이나 설렁탕이 대중적인 음식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1924년 6월 잡지 개벽에 발표된 현진건(1900~1943)의 단편 소설 ‘운수 좋은 날’이 그 이유를 설명해 준다. 소설 속 인력거꾼 김 첨지는 재수 좋게 오랜만에 손님을 태우고 돈을 만지게 되자 열흘째 아파 누워있는 아내가 그토록 먹고 싶다던 설렁탕을 사들고 간다. 그러나 그의 아내는 이미 죽어 있었다. 근근이 살아가는 하층민에게는 설렁탕이 쉽게 사 먹을 수 있는 값싼 음식이 아니었던 것이다.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설렁탕을 밀어낸 배달 음식은 자장면이었다. 본디 중국 산둥지방 전통음식으로 알려진 자장면은 1908년 인천 차이나타운의 공화춘(共和春)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이후 배달 수단이 자전거에서 오토바이로 대체되면서 음식 배달은 또 다른 속도 경쟁 속으로 빠져들었다.

21세기가 되면서 음식 배달은 디지털 바람을 타고 퀵커머스 사업으로까지 확장됐다. 규모도 구멍가게가 아니라 거대한 기업으로 수준으로 성장했다.

땅을 넘어 하늘길로 배달 영역과 방식이 확장될 날도 멀지 않았다. 이미 드론이 그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지 않은가. 다만, 현시점에서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 250년이 넘는 음식 배달의 역사 뒤에는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달리던 대접받지 못한 배달 노동자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