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상승 등 점포 급증
광주 올 상반기 피해접수 52건
작년 10개월 범죄건수에 비슷
경기 침체로 생활 범죄 표적
“24시간 CCTV만 볼 순 없어”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의 한 무인점포 앞에 절도범을 찾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박정석 기자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의 한 무인점포 앞에 절도범을 찾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박정석 기자

최근 광주시내 무인점포가 증가하며 이를 대상으로 한 관련 범죄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이름 그대로 가게를 지키는 사람이 없다 보니 각종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15일 광주경찰청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와 인건비 부담 등으로 지역내 무인점포가 속속 들어서고 있다. 무인점포는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 등록만 하면 영업이 가능한 ‘자유업’이라 지자체 신고 의무가 없다. 따라서 정확한 점포 수는 집계되고 있지 않다. 업종도 다양하다. 아이스크림 할인점을 비롯한 노래방, 무인텔, 스터디카페, 사진관, 편의점, 커피숍, 빨래방, 문구점 등에 이르기까지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문제는 CCTV 외에 별도의 보안 시스템을 둔 무인점포가 많지 않아 절도 범죄에는 취약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3월부터12월까지 광주의 무인점포 절도 사건은 58건(검거율 57%)으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에만 52건(검거율 73%)이 발생해 지난해 10개월 범죄 건수에 육박하고 있다. 무인점포 특성상 소액 절도가 잦아 범죄신고를 하지 않은 사건까지 감안하면 피해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범죄가 늘어나자 무인점포 업주는 이용자들의 신고를 요청하는 안내문까지 게시하는 상황이다.

광산구 운남동의 한 무인 아이스크림 가게 앞에는 CCTV 화면을 촬영한 안내문이 내걸렸다. 안내문에는 ‘사진 속 주인공 또는 이 분을 아는 분은 연락 바랍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피해는 절도뿐만이 아니다. 재물손괴, 사업장 점거, 쓰레기 무단 투기 등이 발생하고 있다.

광산구 신가동에서 무인상점을 운영하는 B씨는 “어린 학생들이 새벽에 갈 곳이 없어 가게를 점거하는 일은 물론, 취객이 제 집 안방처럼 자고 간 적도 있었다”며 “24시간 CCTV만 바라볼 수도 없는 노릇이라 앞으로도 걱정이다”고 말했다.

지난 6월 경기도 김포에서는 한 여성이 무인 인형뽑기방에 대변을 보고 달아난 사건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키오스크로 인해 인건비가 들지 않고 운영이 편리하다는 장점 때문에 앞으로도 무인점포가 늘어날 것이라며 업계와 수사당국 모두 범죄 예방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보안업체 에스원은 범죄예방연구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코로나 이후 ‘언택트’ 트렌드의 부상과 최저시급의 상승으로 무인상점이 증가하는 가운데 경기 침체로 생활 범죄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무인상점 절도 범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광주경찰청 강력계 관계자는 “무인점포는 상주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사건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힘들다”며 “검거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CCTV 하나만 보고 범인을 특정하는 것도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박정석 기자 pjs@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