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인정 국내 갯벌 90% 점유…‘생태계 보고’
갯벌 체계적 관리 컨트롤타워 역할 기대
세계자연유산 추가 등재 등 자원화 시동
고창·서천 경쟁 속 실사단 설득 ‘주효’
전남도-신안군, 유치 협력 성과 거둬

 

갯벌세계자연유산보전본부의 전남 신안 유치가 확정되면서, 전남도와 신안군은 갯벌 생태계 보고의 입지를 지켜냈다는 평가다. 사진은 신안 압해도 일대에 아름답게 펼쳐진 갯벌 모습.

전남 신안과 전북 고창, 충남 서천 등 3개 지자체가 도전장을 내민 ‘갯벌세계자연유산보전본부(이하 보전본부)’가 결국 신안 품에 안겼다.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국내 갯벌의 90%(전남)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해양수산부의 공모 강행<2022년 7월 28일 자 24면>으로 예상 밖에 경쟁을 펼쳐야 했던 전남도와 신안군은 보전본부 유치에 성공하면서 한숨을 돌렸다. 세계가 인정한 갯벌 생태계의 보고 신안에 들어설 예정인 보전본부는 앞으로 국내 갯벌의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세계자연유산 추가 등재 등 우리 갯벌의 세계자원화에 나서게 된다.

31일 전남도와 신안군 등에 따르면 보전본부 설치는 국내 서남해안 갯벌의 세계자연유산 등재 당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권고사항이다. IUCN은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이 충남 서천갯벌과 전북 고창갯벌, 전남 신안갯벌과 보성-순천 갯벌 등 5개 지자체에 걸쳐 이뤄진 연속 유산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갯벌을 통합 관리할 기구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에 따라 추진된 보전본부 설치는 지난 7월께 해수부가 뜻밖에 지자체 공모를 통해 입지를 결정하기로 하면서 반전을 맞았다.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갯벌 면적의 90% 이상을 차지한 전남 입장에서는 당혹 그 자체였다. 당시 공모 기준도 논란이었다. 세계자연유산 등재 기여도 등이 사실상 평가항목에 빠지면서 자연유산 등재를 주도적으로 추지해온 신안군과 전남도 관계자들 사이에선 정치권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아쉬움도 터져나왔다.

논란에 비해 공모 과정은 비교적 수월했다. 신안군은 압도적인 자연유산 지정 면적을 바탕으로 추가 등재 가능성과 세계자원화 가능성을 적극 어필하며 실사단을 설득했고, 김영록 지사를 필두로 전남도 공무원들도 “과거 전남과 신안이 갯벌 보존을 위해 노력했던 기여도와 함께 미래에도 그 보존 노력을 그대로 이어갈 수 있도록 공정하게 평가해달라”고 호소해, 결국 보전본부 신안 유치를 이끌어냈다.
 

지난해 ‘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식에서 축사하는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전남도 제공

특히 1차 PPT 발표와 2차 현장실사 두 차례 평가 모두 전남 신안 발표자로 나선 고경남 신안군 세계유산과장은 10여 년간 세계자연유산 관련 업무를 맡아온 경험을 살려 국내 갯벌 통합관리에 최적지가 신안임을 역설하는 등 보전본부 유치의 간판주자로 활약했다는 평가다.

또 전국에서 유일하게 ‘갯벌보전관리추진단’을 운영중인 전남도는 최석남 단장을 중심으로 신안군을 후방 지원해 생태계 보고 전남의 자존심을 지켰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전남도는 보전본부가 신안에 유치됨에 따라 유네스코 국가해양정원 조성, 대국민 인식 증진 등 지속적인 갯벌 보전관리와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세계자연유산으로 한국의 갯벌이 세계자원화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세계자연유산 갯벌이 여러 지자체에 걸쳐 있고, 공동으로 관리해야 하는 점 등을 감안해 공모에 참여했던 서천과 고창을 포함한 5개 지자체와 함께 연속유산 관리 네트워크를 통한 협력 거버넌스 활동도 강화할 예정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보전본부 유치가 확정된 전남 갯벌은 펄과 모래 등 전 세계 모든 갯벌의 형태가 관찰 가능하고, 1천109종의 다양한 생물종이 분포하는 생태계의 보고”라며 “보전본부와 함께 세계자연유산인 한국의 갯벌이 미래지속가능한 생태환경을 보전하고 세계 해양생태도시 모델구축으로 미래가치가 창출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중·서부취재본부/이은창 기자 lec@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