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1만4천731곳→8천여곳
학생수 감소·학습준비물제도 도입
다이소 등 대형유통매장 등장 원인
업계,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요구

 

초등학생들이 등교하는 모습, /연합뉴스

종례 후 친구들과 삼삼오오 모여 학교 앞 문구점을 들리던 풍경이 사라지고 있다. 광주 남구에서 10년째 문구점을 운영중인 임모(55·여)씨는 “아이들로 북적거리리던 모습은 이미 오래전 이야기”라며 “찾아오는 학생들이 서서히 줄더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뚝 끊겼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2년 1만4천731곳 이었던 전국 문구소매점은 2019년 9천468곳으로 줄었다. 매년 500곳 이상의 문구점이 사라진 셈이다.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은 2022년 현재 무인점포를 제외하면 전국에 약 8천~8천500여곳의 문구소매점이 남은 것으로 추정한다. 광주의 경우 306곳만이 남아있는 상태다. 특히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이뤄지면서 학생들이 학교를 찾지 않던 지난 2년간 큰 타격을 입었다.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문구점도 폐업을 고민하거나 ‘투잡’으로 생계를 이어나가고 있어 영세문구점 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문구점 감소에 속도를 더하는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먼저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있다는 점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 조사에 따르면 만 18세 이하 유·초·중·고 전체 학생 수는 587만9천여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150만6천여명)보다 20%가량 감소했다. 동네 문구점을 찾는 1차 소비자 수는 출생률 저하와 함께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학습준비물 제도 도입도 수요 감소에 한 몫을 하고 있다. 학교에서 수업에 필요한 준비물을 준비하기 시작하면서 아이들이 더 이상 학교 앞 문구점에서 물건을 구입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우후죽순 처럼 들어선 생활용품 유통업체가 동네 문구점의 쇠락 원인으로 꼽기도 한다. 거대 자본을 등에 업은 대형점포가 들어서며 동네 문구점 입지가 좁아졌다는 것이다.

한 문구점 대표는 “여러 종류의 물품을 발주하는 유통업체의 도매가 가격을 맞추기 힘들다. 영세 문구점들은 가격 경쟁력부터 밀리는 상황”이라며 “요즘엔 유행이 지나거나 오래된 재고들이 매장에 쌓여있다”고 토로했다.

관련업계에서는 유통법의 규제를 받지 않은 다이소 등의 무분별한 확장으로 문구용품점의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문구소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문구소매업은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돼 대기업·중견기업의 진출을 막는 등 보호를 받아왔으나 올해 7월31일일자로 지정이 만료됐다.

장낙전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대표이사는 “문구소매업의 최소한의 보호막이 사라졌다. 대기업, 대형매장들이 무분별하게 세를 확장시켜도 더 이상은 제재할 방법이 없다는 뜻”이라며 “유통대기업만 남게 되면 독과점이 돼 문구용품의 가격은 크게 상승될 것으로 생각되고, 이는 고스란히 교육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학부모님들의 지출에도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서영 기자 dec@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