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그린산단, 미래형 車산업 메카로 뜬다

친환경차 부품클러스터-인증센터-자율주행-완성차 일관체계 구축 GGM 완성차 공장 9월부터 양산…상황따라 친환경·자율주행차 전환

2021-02-21     오치남 기자

 

친환경과 자율주행을 포괄하는 미래형 자동차산업의 메카로 급부상하고 있는 빛그린산단 전경. 중앙 신축 중인 건물은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 선도기술지원센터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설 현장. 오른쪽 상단 흰색 건물은 광주글로벌모터스 완성차 공장. /광주시 제공

빛그린산단이 미래형 자동차산업의 메카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21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빛그린산단이 친환경자동차 부품클러스터, 친환경차부품인증센터, 무인 자율주행 비대면 서비스 실용화, 완성차공장 등 친환경차와 무인 자율주행까지를 아우르는 자동차산업의 일관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미래형 자동차산업을 이끌 선도지구로 우뚝 설 전망이다.

친환경차부품클러스터는 지역 자동차산업 경쟁력 확보와 연관된 전장부품 기술 등을 융합 발전시키는 자동차 부품산업 구조 고도화를 위해 지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총 3천30억원을 투입해 구축되고 있다.

빛그린산단 연구용지에 지하 1층·지상 2층·연면적 1만906㎡ 규모의 선도기술지원센터와 지하 1층·지상 5층·연면적 4천889㎡ 규모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가 건립되고 있다.

선도기술지원센터는 179종의 기술개발 장비를 구축해 부품기업 수요에 맞춰 친환경·스마트 부품 개발을 지원하고 미래차 기술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맡는다.

글로벌비즈니스센터는 기업간 교류의 장으로 창업보육, 사업다각화, 해외마케팅, 인력양성 지원의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친환경자동차 선도도시 조성을 위해 빛그린산단에 구축 중인 전국 유일의 친환경자동차 부품인증센터도 오는 7월 준공된다. 친환경자동차 부품인증센터는 급증하는 친환경 자동차 인증수요와 사후관리에 대응하고 안전인증 및 평가를 담당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설립되는 친환경차 부품인증 국가기관이다.

인증센터 건립공사는 지상 2층 규모로 지난해 8월 착공해 충돌시험동, 충격시험동, 배터리시험동 등 3개 동을 구축 중이다.

건물이 완공되면 곧바로 각종 인증·평가 장비의 구축 작업에 들어간다. 인증·평가 장비는 친환경자동차 배터리 평가 장비 7종, 충돌 안전성 평가 장비 7종, 충격 안전성 평가 장비 8종, 화재재현장비 및 법적 부대장비 4종 등 총 26종이며, 2022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인증센터는 7월 센터가 준공되고 이후 장비 구축이 완료되면 9월 배터리시험동을 필두로 순차적으로 충돌 및 충격시험실을 운영한다.

빛그린산단에 건설 중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자동차 공장도 오는 9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체제에 들어간다. 이 공장은 우선 내연 SUV 경차를 생산하지만 자동차시장의 환경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친환경 자율주행차 생산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세계 최초 지자체 주도의 사회대통합형 노사상생의 광주형일자리 자동차공장은 23년 만에 처음으로 국내 자동차공장 건설이라는 큰 의미도 담고 있다.

빛그린산단에는 여기에 더해 무인자율주행 기술의 언택트 서비스 실용화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도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올해부터 2024년까지 410억원을 투입해 헬스케어, 무인점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자율주행 셔틀활용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하는 내용이다.

손경종 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빛그린산단은 부품-인증-완성차 공장에 이르는 일관체계가 구축돼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미래형 자동차산업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치남 기자 ocn@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