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함평 이전 추진…"사회적 합의 필요"

2021-05-19     정세영 기자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함평 이전 추진…“사회적 합의 필요”
함평군에 1월 빛그린산단 입주의향서 제출
광주시 “관내 이전 원칙” 입장 고수
“광주·함평 산단 경계조정 등 절충안” 목소리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전경./남도일보 자료사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이 전남 함평에 위치한 빛그린 국가 산단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광주공장 부지 용도변경 키를 쥐고 있는 광주시는 ‘관내 이전’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만큼 이전을 둘러싼 얽힌 실타래를 어떻게 풀어갈 지 주목된다.

19일 광주광역시와 함평군에 따르면 지난 1월 금호타이어는 함평군에 빛그린산단 전남권역 입주의향서를 제출했다.

금호타이어 측은 친환경타이어 생산시설 마련의 시급함 등을 들어 올 12월 이전 공장 착공을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장부지 면적은 50만㎡다.

빛그린산단은 총 407만1천㎡(123만평) 규모로 광주권역 1단계 264만4천㎡(광주 185만1천㎡·함평 79만 3천㎡)와 전남권역 2단계(함평 142만7천㎡)로 구분돼 있다.

함평군도 금호타이어 측과 협의를 이어가며 공장 이전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관내에 공장이 들어서 있는 광주시는 ‘관외 지역’ 이전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동일한 생활권이더라도 행정 구역상 광주 밖 이전을 추진하는 것은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민간기업이 공장을 타 지역으로 옮기는 건 자유지만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이전부지의 도시계획을 변경해 개발해야 한다는 점에서 광주시 동의는 필수적이다.

용도변경 등 행정절차를 거쳐 회사 측에 막대한 개발 이익을 안길 수 있는데, 광주시가 일종의 ‘특혜’만 사측에 주고, 공장은 전남으로 보낼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다.

금호타이어도 빛그린산단에 50만㎡ 부지를 마련하기 위해선 산단 개발사업자인 LH에 부지비용 1천200억 원의 10%정도를 계약금으로 납입해야 설계변경에 착수할 수 있으나 광주시와 협의 없인 이전이 불투명한 상황인만큼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시는 지난 2019년 1월 금호타이어와 ‘광주공장 부지 도시계획 변경 및 공장 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시와 업계 안팎에서는 광주-함평 빛그린산단 1단계 권역에 들어선 광주 글로벌모터스 공장의 경계 조정이 절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광주 글로벌모터스 공장의 경계를 조정해 함평 부분을 광주로 편입시키고, 함평에는 금호타이어 공장을 이전시키는 방안이다.

글로벌모터스 공장의 경우 대지면적 60만4천㎡ 가운데 광주 41만㎡(67.9%), 함평 19만4천㎡(32.1%)를 차지하고 있다.

경계 조정이 제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양 지자체는 글로벌모터스 공장의 법인세, 소득세 등 지방세 등 분배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산단 경계조정이 조속히 선행돼야 하지만 양 지자체간 협의는 진척 없는 걸로 알려졌다. 이는 경계 조정으로 인한 관할 구역 축소와 세수 감소 우려 때문에 논의에 소극적인 탓이다.

일각에서는 함평군이 자동차 공장, 타이어 공장을 모두 관내에 두기 위해 광주시와의 협의에 소극적으로 나서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시의 관내 지역 이전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 우선은 금호타이어 측에 그린벨트 지역 해제 등을 통해 5년 이내에 광주지역에 공장부지를 마련해 주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가피하게 관외 이전이 필요하다 하더라도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산단 경계조정 등 시와 금호타이어, 함평군, 지역사회가 납득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과 절충안이 나온다면 전향적으로 검토해볼 의사는 있다”고 말했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