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정부 AI산업 분산화 계획 반발
정부 약속 위반 규정…AI 경쟁력 추락 SOC대신 예타면제 받은 노력 ‘수포’ 이 시장 “코끼리 크다고 쪼개면 다 죽어”
인공지능(AI) 중심도시 조성에 힘써온 광주광역시가 정부의 인공지능(AI) 전국 거점화를 골자로 한 정부의 ‘디지털 뉴딜 2.0’ 구상안에 반발했다.
집적화 전략을 분산화로 바꾸면 SOC사업 등도 포기한 채 전략적으로 AI집적단지 조성을 예타면제 사업으로 받은 광주에 있어서는 그동안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도 있는 상황이다.
9일 광주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광주(인프라), 충청권(연구개발), 강원권(데이터 활용), 수도권 (민간 주도 글로벌화) 등 지역 거점 중심 인공지능 확산 계획을 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정부의 약속 위반으로 규정했다.
2019년 광주를 인공지능 산업융합 집적단지로 지정하면서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 인재 양성, 기업 유치, 산업 생태계 조성 등 기능을 모으겠다는 정책을 뒤집었다는 것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광주에서 나온 첨단 기술이 전국적으로 확산해 국가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전략을 철회한 것으로 광주시는 받아들였다.
시는 2019년 1월 광역자치단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 선정 시에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사회간접자본(SOC)이 아닌 AI 혁신 사업을 신청해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했지만 노력이 허사가 될 처지에 직면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휴가 중인 지난 5일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만나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나라는 AI 분야 후발 주자로 집적화를 통해 앞선 도시, 국가를 따라잡아야 하는데 지금 일어서지도 못하는 산업을 7∼8개로 쪼개면 경쟁력을 얻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코끼리가 크다고 2마리로 나눌 수 있느냐. 오히려 죽어버린다”며 “물론 광주만 산업을 육성하느냐는 말은 나올 수 있지만 그렇다고 권역별로 분산하면 제대로 산업을 육성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