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 10명 중 7명 "자치경찰제 모른다"
자치경찰 인식도·정책수요 여론조사 응답자 70.3% 모른다…적극홍보 필요 90% “자치경찰제, 시민 안전에 도움” 우선 추진 필요한 정책 ‘생활안전’ 꼽아
올해 본격 시행된 자치경찰제에 대해 광주시민 10명 중 7명이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적극 홍보가 요구된다.
광주자치경찰제위원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폴인사이트에 의뢰해 지난 8월 9일부터 19일까지 11일간 광주시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21%포인트) 광주자치경찰 인식도 및 정책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70.3%가 자치경찰제를 모른다고 응답했다. 29.7%는 ‘알고 있음’으로 답했다.
또 ‘자치경찰제가 시민이 안전한 광주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0.2%가 긍정 답변했다.
우선 추진이 필요한 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범죄예방 생활안전 업무가 50.6%, 사회적 약자보호 39.0%, 교통안전 8.4%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 위협장소로는 18.4%가 골목길, 12.8%가 유흥가, 9.6%가 공원을 꼽았다. 이와 관련, 63.2%는 범죄예방시설(CCTV 등) 설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사회적 약자 보호분야에서는 가장 시급히 근절해야 하는 범죄는 43.0%가 학교폭력 등 청소년 범죄를 꼽았다. 필요한 자치경찰 활동으로는 42.9%가 피해자 보호 및 지원이라고 응답했다.
교통안전 분야의 최고 위협으로는 오토바이와 전동퀵보드의 무분별한 운행이 53.7%로 나타났다.
교통법규 위반 사항 중에서는 54.3%가 음주운전을 위협요소로 답하고 광주자치경찰위원회 1호 시책인 어린이 교통안전 종합대책은 86.6%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이어, 거주지역에 대한 안전도는 64.5점으로 ‘안전함’, 광주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62.3점으로 ‘신뢰함’의 응답률을 보였다.
김태봉 자치경찰위원장은 “자치경찰제 시행 초기로 시민 인지도가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며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시민들의 높은 기대와 정책수요를 바탕으로 시책 개발에 집중하고 홍보와 향후 정책 추진내용을 면밀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