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전남 청년인구 유출 방지 대책이 우선
광주·전남지역 청년인구 유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나 민선 8기에도 뚜렷한 대책은 보이지 않고 있다. 청년인구 유출 및 유입 현상은 일자리와 임금, 노동 환경, 삶의 질 문제 등과 맞물려 종합적인 해결책 마련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역 균형발전을 이루고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선 지방정부가 최대 과제로 삼아야 한다.
통계청의 ‘2021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지난해 전남·경기 등 다른 지역에서 21만3천명이 광주로 들어오고, 광주에서 21만9천명이 서울·경기 등지로 떠났다. 광주 인구 6천명(순 이동 인구)이 줄었다. 전남은 지난해 22만4천명이 전입하고 22만8천명이 전출해 4천명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20대 인구이동을 보면 상황이 더 심각하다. 광주의 경우 2천600여명, 전남은 무려 1만명에 가까운 9천300여명이 타 지역으로 갔다. 이들은 다른 곳으로 떠나는 이유로 일자리와 교육문제를 꼽았다. 청년층 이탈의 가장 큰 이유가 지역 내 열악한 고용 및 교육환경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감소 현상은 획기적인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막을 수 없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런 상황에서 민선 8기 광주·전남 지방정부는 출산율을 높이는 데만 집중할 게 아니라 지역 청년인구 유출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 특화를 바탕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청년인구 방지 대책을 서둘러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중앙 정부도 고향을 지키면서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청년층에게 특별 지원 및 각종 세제 혜택 등 특단의 지원 정책을 내놔야 한다. 수도권 인구 집중화에 따른 국가 기형발전과 삶의 질 저하 등 각종 부작용이 커질수록 대한민국의 미래를 보장 받을 수 없는 극한 상황까지 내몰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