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쓰레기 처리시설 별도 추진…광역화 무산

순천·여수 독자 건립…광양, 광역화 유보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계획 공고 나서 주민 접근 용이한 복합문화공간 활용 계획

2022-10-30     윤별 기자
순천시 왕지동 쓰레기매립장./독자 제공

전남 동부권 여수·순천·광양시가 공동 협력 사업으로 추진한 광역 쓰레기 처리시설 건립 계획이 사실상 무산됐다.

이들 세 도시는 부지 문제 등을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결국 순천시는 독자적인 쓰레기 처리시설 건립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기 때문이다.

30일 순천시 등에 따르면 여수·순천·광양시는 지난달 2일 민선 8기 첫 행정협의회에서 광역 쓰레기 처리시설 건립 사업에 공동 협력하기로 하고 세 지자체 담당자들이 만나 관련 협의를 진행해 왔다.

광역 쓰레기 처리시설 건립 논의는 매립장 신설이 시급한 순천시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순천에서는 하루 200t의 폐기물을 왕조동 쓰레기 매립장과 자원순환센터에서 처리해왔는데, 왕조동 매립장이 포화 상태여서 추가 신설이 시급한 실정이다.

민선 7기 지역 내 매립장 신설 계획을 세우고 후보지까지 선정했으나, 주민 반발로 진척이 없는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민선 8기 노관규 순천시장은 취임 이후 같은 생활권인 여수·광양까지 아우르는 광역 처리시설 건립으로 계획을 바꿔 여수·광양시에 제안했다.

비용 절감, 시설 운영 효율성, 여수·광양산단과 연계한 에너지원 확보 등 측면에서 광역 쓰레기 처리시설을 공동 협력사업으로 추진하자는 것이다.

2030년부터 생활 쓰레기 매립이 전면 금지돼 매립장 신설이 모든 지자체의 당면 과제인 점도 공동 추진 필요성의 근거로 들었다.

하지만 세 지자체 간 부지 문제, 주민 수용성 등에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채 최근 논의가 중단됐다.

광역화를 제안했던 순천시는 쓰레기 처리 시설 확보 시한이 촉박한 만큼 광역화 논의와 함께 별도 처리 시설 입지 선정 절차도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순천시는 지난 25일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계획을 결정·공고했다.

새로운 입지 선정 기준은 ▲시설 지하화와 지상 융·복합 문화·체육시설 설치 가능 ▲ 주민 접근 용이 ▲자원순환 에너지의 생산·활용 극대화 등을 꼽았다.

이를 통해 소각시설은 지하에 친환경적으로 설치하고, 지상은 경제와 문화·예술·체육의 융복합 시설로 조성해 주민들의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순천시는 입지선정위원회 구성과 후보지 타당성 조사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입지선정을 완료할 방침이다.

광역화에 반대하지 않았던 여수시도 최근 기존 쓰레기 처리 시설을 재활용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2029년까지 시설을 건립하겠다는 독자 노선을 택했다.

광양시도 현재 보유 시설에 여유가 있으며 사전 논의가 충분히 필요한 사안이라는 이유를 들어 한발 뒤로 물러서면서, 세 도시의 쓰레기 공동 협력 사업은 잠정 중단됐다.

순천시 관계자는 “시설 건립이 시급한 만큼 내년까지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 예정이다”며 “광역화에 대한 논의는 아직 유보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동부취재본부/윤별 기자 star2628@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