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매립 금지 임박 … 광주 ‘주민친화형 소각장’ 입지 선정 본격화...입지 공고

市, 광역소각장 건립 부지 공고 6월 23일까지 희망지역 접수 건립비·반입수수료 20% 지원 숙원사업 등 500억 특별지원도

2023-04-25     김다란 기자

 

광주광역시청 전경./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오는 2030년부터 시행되는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해 추진하는 신규 소각장 건립을 위해 후보지 선정 절차를 시작했다.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이날 광주 전역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광역소각장의 신규입지를 찾기 위한 ‘광주광역시 폐기물처리시설(소각) 입지 선정계획 결정 공고’를 시 홈페이지에 공고했다.

시가 신규소각장을 건립하고자 하는 이유는 지난해 7월 폐기물 관리법 시행 규칙을 공포되면서 수도권 3개 시도는 2026년, 이외 지역은 2030년부터 직매립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시는 오는 2029년까지 6만 6천㎡(자연 녹지 기준) 규모 부지에 3천24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650톤 규모의 자원회수 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신설 예정인 쓰레기 소각장은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편익 시설을 담은 주민 친화형 소각장으로 건립된다. 응모 자격은 공모일 기준, 신청 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포함되는 주민동의를 50% 얻은 자치구, 개인, 단체, 문중 대표 등이다.

단, 신청지역 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이 없는 경우에는 주민동의를 생략할 수 있다.

공모 참여 희망자는 6월 23일까지 구비서류를 갖춰 광주시 자원순환과로 방문 접수하면 된다.

하지만 쓰레기 소각장 입지 선정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만큼 주민 수용성 확보가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소각장이 기피 시설로 꼽히는 만큼 건립 후보지 인근 주민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2016년 말 폐쇄된 상무 소각장은 2000년 9월 완공됐지만 집단 시위와 법정 소송 등 우여곡절을 거쳐 2001년 말부터 겨우 가동된 전례가 있다.

이처럼 오랫동안 기피 시설로 인식돼 온 쓰레기 소각장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시는 ▲친환경 중심 ▲주민 친화 공간 창출 ▲랜드마크화 3가지 원칙으로 주민 친화형 소각시설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신설 예정인 주민 친화형 소각장에는 전체 사업비의 20%에 해당하는 규모로 수영장, 축구장, 미디어 아트홀 등 지역주민 편의시설을 조성된다. 사업비는 3천억∼4천억원, 또는 그 이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함께 주민숙원사업과 입지 자치구 교부를 위한 500억 원 등 특별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손인규 자원순환과장은 “자원회수시설(소각) 설치는 도시환경 역량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역점사업”이라며 “입지 선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추진하고 시설을 유치한 지역에는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다란 기자 kdr@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