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도내 흙수로 구조화 사업 국비 지원 늘려야
전남지역 농수로 절반 이상이 자연재해에 취약한 흙수로인 것으로 나타나 국비 지원을 통한 구조화 사업 확대가 시급하다.
남도일보 취재 종합 결과, 전남지역 전체 농수로 3만9천863㎞ 가운데 콘크리트 구조물로 보강된 농수로는 1만7천483㎞(44%)에 불과하다. 나머지 56%는 태풍·집중 호우·지진 등 자연재해 발생 시 매우 위험한 흙수로다.
흙수로는 폭우 땐 쌓인 수초와 쓰레기 더미 등이 물 흐름을 막아 침수피해 등을 유발한다. 가뭄 시에는 빗물 상당량을 흡수해 물 이용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다. 실제 나주시 동강면 장동에 위치한 한 간척지는 장마철에 약 8㎞ 길이의 흙수로에 수초와 쓰레기가 쌓여 해마다 침수피해로 간척지 농민들의 고통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흙수로 피해가 늘면서 전남도내 친환경 소재 콘크리트를 활용한 흙수로 구조물화 사업비도 최근 5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2018년 31억5천만 원(도비 기준) 수준이던 사업비가 2020년 44억 원, 2021년 58억 원, 작년과 올해 각각 73억 원 상당으로 급증했다. 올해 목포시를 제외한 21개 시·군이 도비 73억 원을 포함해 총 91억2천만 원 상당을 투입, 흙수로 구조물화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한해 구조물화로 개선된 흙수로가 수십㎞에 그쳐 관련 예산을 더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열악한 지방 재정 여건을 감안해 국비 지원 확대도 필수적이란 주장이다.
지난달 29일 함평에서 농수로 수문 관리원이 폭우에 휩쓸려 숨진 채 발견되는 등 도내에서 농수로 관련 사망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재해 대응에도 매우 효과적인 흙수로 구조화 사업 국비 지원을 현행 20%에서 50%까지 늘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재해 예방과 안정적인 농업용수 확보를 통해 영농에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