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전남도 반도체 특화단지 추가 지정 ‘촉구’
姜 시장·金 지사, 입장 발표
‘광주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가 기존의 빛그린국가산단과 진곡산단, 신규 지정된 미래차국가산단을 연계해 약 220만평 규모의 미래차 삼각벨트로 구축된다./남도일보 DB
광주시와 전남도는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결과에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가 제외된 데 아쉬움을 표하고 정부에 추가 지정을 촉구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0일 오후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미지정은 매우 아쉽지만, 도전은 더욱 선명해졌다”며 “여기서 중단하면 실패로 끝나지만, 도전을 이어가면 실패도 스펙이 될 테니 광주와 전남이 함께한 반도체의 꿈이 현실이 될때까지 멈추지 않고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앞으로도 첨단 패키징 분야를 중심으로 반도체 기반을 견고히 구축하고 반도체 특성화대학, 반도체 공동연구소를 중심으로 인재양성 사다리도 완성시킬 계획”이라며 “인공지능(AI)·전력·차량 등 지역 산업과 반도체 산업의 연계성을 높이고 앵커기업 유치 전략도 촘촘히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광주 대표 공약인 ‘인공지능 대표도시 조성’의 마지막 퍼즐은 AI 반도체 특화단지”라며 공약 이행과 함께 추가 지정 검토를 건의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도 입장문을 내고 “350만 시·도민께서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를 간절히 염원했으나, 정부에서는 이러한 희망과 기대를 철저히 외면했다”면서 유감을 표명했다.
김 지사는 “광주·전남은 풍부한 재생에너지와 용수, 전문인력 양성체계 등을 갖춰 대한민국 차세대 반도체산업을 뒷받침할 만반의 준비가 돼 있는 지역”이라며 광주·전남에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해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김 지사는 특화단지 추가 지정 노력과 함께 ▲ 광양만권 미래첨단소재 국가산단 조성 ▲ 서남권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 유치 ▲ 무안에 화합물반도체 허브 구축 등 권역별 첨단산업 육성 의지도 밝혔다.
s6;이은창 기자 lec@namdonews.com·/김다란 기자 kdr@namdonews.com